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터전
기본
근거
기틀
파운데이션
뉴스
"
기반
"(으)로 총 7,61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민 절반 이상 "AI 기술 이점이 더 크고 혁신이 규제보다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국민투표(579명)와 관계부처 담당자 평가를 종합해 시상자 6명이 정해졌다. '구체적 사례
기반
의 AI윤리브리프 발간 및 대국민 확산'을 제안한 정도범·유화선씨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우수상에는 백단비씨의 'AI 위험 자가 점검·진단 시스템 마련(내AI안전지키미)', 김강산씨의 '인공지능 챗봇 활용의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청, 사천·서울·대전서 채용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ETRI)은 충남 테크노파크 디스플레이 혁신공정단에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
기반
디스플레이 기술 및 OLED 소자 기술’을 6억원에 기술 이전하기로 계약했다고 6일 밝혔다. ETRI가 이전한 기술은 초실감메타버스연구소 실감소자연구본부에서 개발한 디스플레이 소자 및 패널 기술이다. 이번 공공팹 ... ...
[과기원NOW] KAIST, 청소기·헤어드라이어 소음 줄이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OLED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재의 노화로 화면 밝기가 저하된다. 연구팀은 트리페닐아민
기반
정공수송층 소재를 개발해 최대 휘도와 최대 발광 효율을 향상시켰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3일 국제학술지 ‘유럽 중합체 저널’에 온라인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양지웅 ... ...
중국서 쌓인 눈 높이로 한국 폭염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모델의 입력변수로 사용해 한국 폭염일수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때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DBSCAN) 기법을 이용해 상관성이 높은 지역을 선별했다. DBSCAN 기법을 활용하면 상관성이 높은 픽셀이 밀집해 있는 지역을 자동으로 클러스터화해 지리적으로 가깝고 유사한 상관성을 갖는 지역을 ... ...
폭발·화재 없는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설계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밀도가 올라간다. 연구팀은 입자의 밀도가 가장 높아지는 '입방 최조밀(CCP)' 구조를
기반
으로 고체 전해질이 입자 사이의 공간을 메꾸는 표준 비율을 '균형 임계값'으로 정했다. 균형 임계값에서 양극 입자의 부피 비율은 74%, 고체 전해질은 26%다. 이를 기준으로 에너지밀도와 출력밀도 사이의 설계 ... ...
양궁 사상 첫 5종목 석권…비결은 스포츠 심리학
기반
'심리훈련'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훈련' 등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던 양궁 국가대표팀의 혹독한 훈련은 스포츠 심리학에
기반
한 과학적 단련으로 평가된다.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4 올림픽 양궁 남자 개인전 결승에서 한국 남자 국가대표 김우진 선수가 5번째 금메달을 수확했다는 낭보가 전해졌다. 한국 양궁 국가대표팀이 ... ...
[과기원NOW] "강아지 디스크 손상, '슈파인젤'로 치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슈파인세라퓨틱스가 출시한 동물용 디스크 치료용 하이드로젤 '슈파인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정범 바이오 ... 어려웠던 장기간 뇌 질환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완전삽입 가능한 유연 나노메쉬
기반
신경 보철 원천기술 개발 및 확보가 목표다 ... ...
"교수 정착지원금 10억까지 늘려…26년도 입시 '다층면접' 검토"
2024.08.05
앞당기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교수가 20년 간의 장기적인 연구 계획을 짜고 연구
기반
을 다질 수 있기 때문에 해외 우수 교수 영입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해 입시 제도 개편도 검토하기로 했다. 김 총장은 "2026년 입시부터 시험 성적 위주의 선발을 지양하고 1박 ... ...
'추천 시스템' 효율·정확도 높인 AI 훈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프롬프트를 새로 생성해 기존 지식과 섞이지 않도록 한다. KAIST 제공 연구팀은 프롬프트
기반
의 연속 학습 방법을 최적화하는 '적응적 프롬프팅' 기술을 제안했다. 학습하려는 작업이 기존 작업과 유사하면 기존 프롬프트에 지식을 추가로 축적하고 완전히 새로운 작업이 입력될 때만 새로운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미 가시, 유전자 교정으로 없앨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8.04
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다. 연구팀은 말레볼런스 계통을 분석해 공통적인 유전적
기반
을 확인했다. 식물생장호르몬인 ‘시토키닌’ 생합성의 기초가 되는 효소인 LOG 계열의 유전자를 확인했고 이 유전자를 파괴하면 여러 말레볼런스 계통에서 가시가 사라진다는 점을 발견한 것이다.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