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566건 검색되었습니다.
극한 환경에도 작동하는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문제점을 크게 개선한 결과”라며 “집약적 차세대 컴퓨팅 시스템과 액상 공정 기반의
전자
소자를 대량 생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에 17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소 공정을 이용한 ZrO2 막 광패터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대부분 큰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하나에서 효과가 미미했고 분석 결과 단백질 사다리 유
전자
의 변이로 아미노산 하나가 달라졌다는 걸 확인했다. 우연한 변이로 조수라발핀에 내성을 지닌 게 된 CRAB가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만 자연계에는 조수라발핀에 해당하는 천연 분자가 없어 반복된 ... ...
ETRI, 데이터 폭증 해결 광원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5GB 용량 풀HD 영화를 1초에 5.6편을 보낼 수 있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데이터센터의 내부 네트워크에서 채널당 224기가비트퍼섹(Gbps‧1Gbps는 1초에 대략 10억비트)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밀리미터(mm) 크기 이하의 전계흡수변조형 광원 소자 기술을 독자 ... ...
[과기원NOW] 땀·털·각질 영향 덜 받는 ‘웨어러블 로봇’ 등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마이크로니들 센서 사진. KAIST 제공.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재웅 전기및
전자
공학부 교수, 김정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땀, 각질 등 피부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 생리 신호 측정이 가능한 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센서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재활치료에 활용되는 웨어러블 ... ...
햇빛과 체온으로 전력 만드는 '
전자
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구조 웨어러블 열전
전자
피부의 동작 원리에 대한 개략도. 서울대 제공 야누스 구조
전자
피부를 통해 태양 빛의 세기가 약한 상황(오전 혹은 늦은 오후 시간대)에서는 냉각 기능을 통해 '피부(고온)-소자(저온)' 환경을 조성했다. 태양 빛의 세기가 강한 상황(정오 부근)에서는 가열 기능을 통해 ... ...
국내 첫 유
전자
가위 영상화…"체내 이동·효과 즉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정맥주사로 간에 전달했다. 이 과정을 양
전자
단층촬영(PET) 영상으로 확인하면 유
전자
가위의 작용 여부를 알 수 있다. 박정훈 실장은 “앞으로도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와 바이오 소재 기술을 기초연구 분야와 접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 성과를 계속해서 도출해 내겠다”고 밝혔다. 연구 ... ...
전력 덜 쓰는 반도체 나올까…금속서 '극성'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22
갖는 ‘이종구조 에피택시’ 물질이다. 플렉소 전기장은 루테륨산 스트론튬 내
전자
상호 작용과 격자 구조를 변화시켰다. 그로 인해 금속의 전기적·기계적 특성이 바뀌며 중심 대칭 구조를 갖던 금속 내 분극화 현상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대수 교수는 ”금속 물질에서도 극성 상태를 ... ...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01.20
대학원생 레이먼드 고슬링이 찍었다. 프랭클린 연구팀이 찍은 51번째 회절 사진이었다. 2
전자
현미경으로 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모습. 프랭클린은 DNA 구조 발견과 관련한 연구로 널리 알려졌지만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흑연, RNA,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등 다양한 화학물질의 구조를 발견하는 ... ...
구글 알파폴드, 환각 분자 수십만 개 발견…항우울제 개발 돌파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화학물을 식별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알파폴드의 단백질 모델은 실험실에서 극저온
전자
현미경 또는 X선 결정학 등의 도구를 이용해 발견한 유망한 약물 후보물질과 다른 화합물을 산출해냈다. 하지만 알파폴드는 ‘세로토닌 수용체’를 가장 강력하게 활성화하는 약물 후보물질을 ... ...
[사이언스게시판] 한국공학한림원, 정부 관계자 초청 나노기술 주제 'NAEK 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근간이 될 나노소재·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전략을 논의한다. 조진우 한국
전자
기술연구원 소재부품·에너지연구소장이 기조 발제하며 최영진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장과 현택환 서울대 교수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공학한림원은 이번 포럼부터 기존과 달리 정부 관계자를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