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성교
면밀한 솜씨
섹스
가훈
가정교훈
그리스정교
뉴스
"
정교
"(으)로 총 1,082건 검색되었습니다.
[Health&Beauty]X선으로 치료 ‘인터벤션 시술’… “수술의 효과적 대안”
동아일보
l
2015.09.23
EchoNavigator)’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임상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의료진이 더욱 신속하고
정교
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최근 뇌동맥류에서 혈류량과 속도, 방향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시각화, 수량화하는 인터벤션 시술 가이드 솔루션 소프트웨어 ‘애뉴리즘플로(AneurysmFlow)’를 ... ...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정교
하게 접는다! 날카로운 뿔을 자랑하는 종이 사슴벌레가 마치 실제 생물처럼
정교
하죠? 놀랍게도 한 장의 한지로 만든 작품이에요. 이 작품을 만든 사람은 종이접기 작가 로버트 랭이에요. 로버트 랭은 실제 생물의 모습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드는 종이접기 방법을 개발하고 있어요. 그리고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이루는 뼈의 구조가 현생인류와 가까워 물건을 쥐거나 도구는 만들 때 필요한 힘과
정교
함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또 턱과 이빨이 작아져 씹는 힘은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역시 호모속의 특징이다. 그럼에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의 특징 역시 꽤 지니고 있다. 먼저 키에 비해 뇌용량이 작아 46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것이기 때문에 그 결과가 최선이 아닌 경우가 많다. 흥미롭게도 척추동물과는 별개로
정교
한 눈을 진화시킨 두족류의 경우 정말 시신경이 망막 바깥쪽에 있다. 따라서 시신경 다발이 뇌로 연결되기 위해 망막을 뚫을 필요가 없다. 물론 이들 생물은 맹점이 없다! 척추동물의 눈(왼쪽)과 두족류 ... ...
어디까지 소름 돋았니? 전자피부에 물어 봐
2015.08.21
정량적으로 측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비 살포시 앉아도 압력 느낄 만큼
정교
해 피부에 앉은 나비의 이동까지 파악할 수 있을 만큼 전자피부의 촉감은 발전 중이다. - 스탠퍼드대 제공 전자피부는 첨단 로봇에도 사용된다. 기계가 느낀 감각을 전자피부를 통해 사람에게 그대로 ... ...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값싸고 좋은 현미경으로 ‘1인 1현미경’ 합시다~”
2015.07.30
제작비도 대폭 절감했다. 부품 크기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컴퓨터로
정교
하게 현미경 설계도를 그린 뒤 렌즈와 빔 스플리터를 제외한 나머지 현미경 몸통을 3D 프린터로 출력했다. 박 군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결국 제작비를 5만 원 이하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박 ... ...
휴보가 DARPA 챌린지에서 우승한 비결은?
2015.07.25
통해 전장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들고 이동하는 로봇을 개발했다. 방송국에서는 사진을
정교
하게 찍는 모션테이블을 제작했으며, 가수 김장훈 씨의 공연에는 움직이는 무대인 '플라인 스테이지'로도 쓰였다. 오 교수는 여러 장의 천문 사진을 보여주며 "휴보의 제어 기술로 KAIST 옥상에서 우주의 성운,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일어난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 김형민 제공 또 질소고정을 위해 숙주식물과
정교
한 공생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없는 미생물을 농작물에 뿌려줄 경우 질소비료의 사용량을 줄이는 친환경 농업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워크숍에서 도티 교수는 미루나무와 버드나무에서 분리한 ... ...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듀크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이 이번에는 원숭이 3마리의 뇌를 연결해 가상의 로봇 팔을
정교
하게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다. 원숭이 3마리의 뇌를 서로 연결했다는 의미로 이 시스템에는 ‘브레인넷(Brainet)’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연구진은 사전 실험으로 쥐 3, 4마리의 뇌를 연결해 간단한 임무를 ... ...
휘어지는 아몰레드 상용화 앞당겼다
2015.06.30
AMOLED)라고도 부르는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는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비해
정교
한 화면을 표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유기물질을 이용해 빛을 내기 때문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 때 완벽하게 밀봉하기 어려웠다.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