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뉴스
"
지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탐사선 인사이트, 27일 새벽 착륙 카운트다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다리를 빼내며 착륙을 준비한다. 약 1분 30초 뒤 12개의 역추진 로켓을 이용해 천천히
지면
으로 내려온다. 여기까지 착륙에 소요되는 총 시간은 약 6분 35초로 예상된다. 인사이트의 착륙 과정. - 사진제공 NASA 인사이트는 화성의 형성 과정을 밝힐 계획이다. 내부구조를 밝힐 지진파를 탐지하기 위해 ... ...
2021년 ‘알파고’한계 뛰어넘을 뇌 닮은 AI칩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선임연구원은 “뉴로모픽 칩이라고 해도 뉴런이나 시냅스의 양이 점점 많아
지면
정보를 색인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면서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네오2C도 메모리를 병렬로 분산하는 멀티코어 방식을 도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 ...
화성 착륙 임박한 탐사선 인사이트 '공포의 7분'을 극복하라
2018.11.23
마침내 착륙한 인사이트는 터치다운 후 약 10초 후에 신호를 보내 생존을 알리고 단단히
지면
에 고정돼 있음을 지구의 엔지니어에게 전합니다. 지진학을 통한 화성 탐사가 중요한 이유 인사이트가 안전하게 착륙했다면 2년 간 화성 탐사를 진행합니다. 큐리오시티가 화성을 돌아다니며 ... ...
OECD AI 권고안, 일반원칙·정책지원 2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있다. 민원기 차관은 “AI가 국제사회의 주요 화두인 만큼, OECD 차원의 권고안이 만들어
지면
의미가 클 것”이라며 “권고안 만드는 과정에서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과학기자가 뽑은 올해의 과학자에 악셀 팀머만 단장·박남규 교수·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언론 환경 속에서도 고정 과학면을 유지하고 2017년부터 ‘미래&과학’
지면
과 온라인사이트를 운영해 다양한 사회적 의제까지 과학기사의 영역으로 끌어 들이고 현장 중심의 취재로 후배 기자들에게 모범을 보였다. 이 선임기자는 “과학기자를 시작한 90년대 말은 외환위기 여파로 과학면이 ... ...
유전자 복구 시스템 차단해 암세포 재발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결국 죽게만들 수 있다 분석했다. 어니스트 연구원은 “Myc 유전자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
지면
암세포에서 유전자 혼란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하게 된다”며 “암세포 내 유전자 발현기능의 문제가 생기면 증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암세포의 유전자 수리 시스템의 활성을 막는 약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작동하는데 들어가는 전기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기기의 효율이 높아
지면
서 소비량은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네트워크 이용과 데이터센터 운영에 들어가는 전기의 양이 급속이 늘고 있어 2030년에는 두 항목이 ICT 전력사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다. 콘텐츠의 개수가 늘어나는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는 美 ‘서밋’…韓 슈퍼컴 5호기 ‘누리온’은 13위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수준 이상의 자원을 쓸 수도 없는데, 이런 상황에서 도입 시기까지 늦춰
지면
연구를 지속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안정적인 투자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1
어떤 미세조류는 환경 변화에 민감해요. 수온이 올라가면 많이 자라거나, 자외선이 강해
지면
군체를 이루는 종류도 있죠. 저는 남해에 사는 미세조류를 채집하여 환경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 중이랍니다. 미세조류 Odontella litigious의 현미경 사진. - 전미사 제공 Q 남극에는 어떻게 가시게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조절했다. 빛은 서로 영향을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지만, 빛이 가진 에너지가 커
지면
그 에너지는 다른 빛에 영향을 미친다. 이 방법은 강력한 빛을 만들기 위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커다란 변환장치도 설치해야 하므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KAIST 연구진은 이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