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뉴스
"
활발
"(으)로 총 1,903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2019 소비자의 선택' 아동잡지 부문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받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1만 5000명의 어린이 기자단이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를 통해
활발
하게 활동하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는 올해 발간 15주년을 맞아 ‘어메이징 어과동’ 캠페인을 시작한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지어준 어린이과학동아의 애칭이다. 캠페인은 어과동 로고송을 중심으로 ... ...
항체 잡는 '빛 스위치'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작은 항체일수록 세포 내에 잘 침투해 면역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의료용으로 연구가
활발
하다. 허 교수팀은 작은 항체에 빛 스위치를 달아 자유롭게 제어하는 ‘옵토바디’ 기술을 개발했다. 먼저 빛을 비추면 녹색의 빛을 내는 단백질인 녹색형광단백질(GFP)을 찾아낼 수 있는 가장 작은 항체 ‘GFP ... ...
"여배우 등장 시간 남성의 절반 수준" 시각 AI로 영화 분석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행사할 수 있는 만큼 영화 내 묘사가 관객들의 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
하게 진행돼야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영화를 더욱 신중하게 제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스웨덴의 경우에는 벡델 테스트 결과를 영화 등급 산정에 반영하는 등 성편향성 분석을 정책에 ... ...
국내 연구진, 면역항암제 치료 효율 높이는 약물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보이는 한계가 있다. 면역제어물질과 면역항암제를 병행해 이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활발
하다. 연구진은 히알루론산 등 생체적합성 소재로 지름 5~10mm 크기의 디스크 형태(알약 모양)의 전달체를 제작했다. 여기에 화학항암제 독소루비신과 면역제어물질을 담아 암세포 주변 다양한 세포와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물질인 물이나 메탄 등을 외계행성에서 찾는 연구도
활발
하다. 영국 런던칼리지대 연구팀은 지난달 12일 지구로부터 111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K2-18b의 대기에서 수증기를 찾아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하며 외계에서 생명체를 발견할 가능성을 높이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것과 관련이 있다. 흥미롭게도 초파리가 녹색빛을 선호하는 시간대가 바로 먹이 활동이
활발
한 때다. 한편 정오 무렵 빨간빛 선호도가 녹색빛 수준까지 올라가는 건 쉬는 시간대이기 때문이다. 우리도 낮잠을 잘 때는 너무 밝은 데보다 약간 어두운 곳이 더 편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파란빛은 왜 ... ...
한국 찾은 노벨상 수상자들 "기초과학·젊은 연구자 지원 게을리 말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북미에서도 많은 여성 과학자들이 차별을 겪고 있으며, 때로는 여성의 참여가
활발
한 의학 등에서도 차별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성 노벨상 수상자로 회자된다는 것 자체가 현실을 반영해 준다. 빨리 변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
노벨생리의학상 과학자들, 산소에 적응하는 세포 신비 밝혀 암치료 길 열다(재종합)
2019.10.07
처리가 어려운데 이런 체내 환경에서 암세포의 거동을 연구해 치료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활발
하다”고 설명했다. 이대호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할 때 암은 이미 저산소 상태에 빠져 있기 때문에 왜 치료제가 잘 안 듣는지, 약제가 효과가 없는지, ... ...
뇌 속에서 ‘부작용 없이 살빼는 약’ 실마리 찾았다
2019.10.07
했다.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체중 감량 효과를 극대화할 새 공격 목표를 찾는 연구도
활발
하다. 그 중 하나가 ‘띠뇌실막세포’ 속 단백질인 ‘TSPO’이다. 띠뇌실막세포는 뇌 내부의 뇌실과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부위의 세포다. 음식에 들어있는 영양소를 감지해 식욕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 ...
수술없이 초음파로 뇌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쥐의 꼬리 움직임을 유도하는 뇌 부분을 자극한 결과, TRPA1이 있는 쥐는 꼬리 움직임이
활발
한 반면 TRPA1이 없는 쥐는 꼬리 움직임이 감소하기도 했다. 공동1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오수진 KIST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저강도 초음파에 의한 신경세포 조절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개체 수준에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