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열'받아도, 벼 수확 걱정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말했다. 이와 함께 농진청은 생산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유전자 ‘OsVIL2’도
발견
해 품종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OSABP57 유전자가 포함된 벼 품종이 병충해를 견뎌 생산성을 늘리는 식이라면, OsVIL2 유전자를 이용해 만든 품종은 같은 면적에서 최대한 많은 벼가 자라도록 해 생산성을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짧은 책을 쓰려다가 에셔와 바흐의 작업에서도 공통점(재귀순환으로 대표되는 무한성)을
발견
하고 작업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박사학위 내내 저술작업을 병행했고 1977년 인디애나대 컴퓨터학과 교수로 자리잡은 뒤 마무리해 1979년 펴낸 것이다. 책의 5장 ‘재귀적인 구조와 재귀순환적인 과정’에 ... ...
[뉴스 속 의학]위밴드 20대女 사망사건
동아일보
l
2013.09.30
위 크기를 줄이는 수술을 받고 몸무게를 131kg에서 70kg 넘게 감량해온 20대 여성이 숨진 채
발견
됐다. 수술 등으로 무리하게 몸무게를 줄인 부작용으로 사망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본보 9월 24일자 A13면 참조). 잊을 만하면 ‘다이어트 사망’ 사건이 발생한다. 지나친 비만은 육체뿐만 아니라 ... ...
후쿠시마 오염수 탱크 또 누수…도쿄전력 “방사능 낮다”
동아일보
l
2013.09.29
한국정부 질문에 ‘한줄답변’” - 오염수 누출 후쿠시마 원전 저장탱크 바닥에 틈새
발견
돼 - “후쿠시마 원전서 세슘-스트론튬 하루 600억Bq 바다 방출” - 일본 후쿠시마현 이틀 연속 지진 발생…원전 이상없나? - 도쿄전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통제불능” 시인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3.09.29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실험을 주도한 디나 파시니 연구원은 “훗날 외계 행성에서
발견
한 생명체가 우리와 친척일 가능성도 있다”며 “과연 둘 중 누가 누구를 낳았느냐 같은 질문을 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화성 토양 물
발견
, 물 먹을 수 있나… “걱정은 NO!”
동아닷컴
l
2013.09.27
함께 화성에 인류가 머물 정착기지 건설이 추진되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화성 토양 물
발견
’소식을 네티즌들은 “로봇들이 제일 고생많네!”, “화성에서도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생명체도 있지 않을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도깨비뉴스 장경국 기자 lovewith@donga.com 트위터 ... ...
신종 전기 물고기
발견
“바닷속의 피카츄네!”
동아닷컴
l
2013.09.27
캠퍼스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이아나 마자루니강에서
발견
한 이 물고기는 약 3,000만 년 전부터 지구 상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스스로 전기를 만들수 있다고 한다. 신종 전기 물고기는 주로 먹이를 잡기 위해 전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전기 물고기와 달리 이 신종 전기 ... ...
논밭에 가지 않아도 농사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7
게 목표”라며 “앞으로 로봇기술이 개발되면 수분이 부족하거나 병충해를 입은 작물을
발견
하는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u-FARM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우량종자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형석 기능성천연물센터 박사는 “종자들을 다양한 환경에 노출시킨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09.26
10만 분의 1초) 이하의 오차로 동시에 가깝게 움직이는데, 그 원리는 연구팀이
발견
한 톱니 바퀴에 있었다. 그런데 플랜트호퍼의 톱니바퀴는 성충이 되면 사라진다. 그 이유는 무엇 일까. 톱니바퀴는 이빨 하나가 빠지면 전체가 망가지는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탈피할 때마다 톱니를 고치지만 더 ... ...
빙하 밑 잠자던 나무, 2350년 만에...“빙하 밑은 거대한 숲”
동아닷컴
l
2013.09.26
나무들은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며 그 모습을 조금씩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이번에
발견
된 나무들은로 인해 과거 알래스카 지역이 거대한 숲이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연구팀의 케시 코너 박사는“빙하 밑 잠자던 나무의 대부분은 전나무로 보인다”며 “최소 1000년 이상 빙하 속에 ... ...
이전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89
9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