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다음책도 준비 중이다. 미치오 카쿠의 ‘마음의 미래’인데, 마음과 의식의 비밀을
연구
하는 물리학에 대한 글이다. 미국의 종합투자은행인 J. P. 모건에서 자사의 백만장자 고객을 위해 발표한 올 여름 필독서에 들어간 책이다. 기자도 책이 출간되는 즉시 읽어볼 계획이다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각별히 신경을 써야 했다.그 후 1년 동안의 화성 생활은 빠르게 지나갔다. 한국항공우주
연구
원과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메탄/산소엔진으로 작동하는 5인승 차량으로 1만km가 넘는 탐사를 했고, 비행선과 무인기로 지형도 촬영했다. 매일 반복되는 일에 조금은 지치기도 하고 먼지폭풍이 불어올 때는 ... ...
지구가 점점 더워진다! 2099년 온난화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태즈매니아 지역의 공기를 채취하고 분석해 새로운 온실가스를 4종이나 발견했어요.
연구
팀은 이 가스들이 전자부품을 청소하는 용제나 살충제를 만드는 화학물질에서 나왔으며 지난 20년 동안 오존층을 파괴해 왔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답니다 ... ...
[시사] 360°로 보는 동그란 세상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표현하는 아마추어 사진작가가 있다. 프랑스 과학대학 EPITA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를
연구
하는 알렉상드르 뒤레뤼츠 교수다. 사람의 시야로 볼 수 있는 입체 공간을 어떻게 한 장의 사진으로 담았을까.반복으로 무한을 담다!뒤레뤼츠는 작은 행성을 한 장에 담는 사진 이외에도 ‘무한’을 표현한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아이들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약 300년 전에
연구
한 그래프이론이 왕따를 찾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다.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사회관계망 분석점과 선으로 연결된 아래 그래프는 인천지역의 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이루고 있는 친분 관계를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감싸 머리카락 10분의 1 두께의 얇고도 유연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이
연구
로 휘어지는 전자제품 개발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을 넘었다”며 “앞으로 배터리의 충전용량만 더 늘리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가 디자인을 혁신한다 최근에는 아예 전지 소재를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NASA) 제트추진
연구
소(JPL)가 비행접시 모양의 새로운 비행체 ‘저밀도 초음속 감속 장치(LDSD)’를 개발해 시험비행에 나선다. SF영화에나 등장할 법한 둥그렇고 납작한 비행접시 모양은 화성대기권 진입 시 공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됐다. 화성은 대기밀도가 지구의 1%에 불과해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남성과 여성의 얼굴형이 서로 다른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마이클 모건 유타대 의대
연구
원은 “주먹다툼으로 응급실에 오는 환자의 90%는 남성”이라면서 “여성보다는 남성이 생존을 위해 주먹을 사용하도록 진화해왔다”고 말했다. 즉 남성은 턱뼈와 광대뼈를 단단하게 만들어 방패로 삼아야 ... ...
사랑하면 정말 ‘힘’이 난다… ‘옥시토신’ 때문에!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더 건강하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팀은 젊고 늙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젊은 쥐는 근육을 이루는 세포가 많은 반면 늙은 쥐는 이 세포의 수가 적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 세포 수가 줄어든다는 뜻으로, 이는 사람도 마찬가지로 겪는 ... ...
“위성은 태양계 역사의 산 증인”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위성과 달에 대해 심도 있는 이야기를 나눴다.최 박사는 달 같은 위성에 탐사선을 보내
연구
하는 이유로 태양계의 역사를 알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위성에는 태양계의 역사가 차곡차곡 쌓여 있기 때문이다. 심 박사는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꼽았다. 예를 들어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은 ... ...
이전
985
986
987
988
989
990
991
992
9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