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09
달위원회가 조정기능을 맡아 혼란한 이름을 정리했다. 크레이터의 이름에는 대부분
천문학자
이름이 붙어있지만 예술가 수학자 화학자 문학가 등 업적이 큰 다른 분야의 사람도 간혹 찾아볼 수 있다. 업적이 훌륭한 사람일수록 큰 크레이터를 배당받는 것이 특징. 가까운 일본만해도 여섯명의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l
199109
이루어져 있고 다른 하나는 적색거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왜 이래야만 하는지에 대해
천문학자
들은 아무런 확신을 갖고 있지 않다.은하계가 급속히 혹은 천천히 만들어지는 것이 과연 중요할까? 물론이다. 우주가 급속히 혹은 천천히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도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09
강한 사회에서 과학적이고 새로운 생각을 내놓는 일은 대단히 힘들었을 것이다.그러나
천문학자
핼리(Halley, 1656년~1742년)는 1715년에 '지구연령 측정을 위한 제안'이라는 서한을 영국 학술원에 보냈다. 그는 바닷물의 소금중 나트륨(Na)은 쉽게 소실되지 않을 뿐더러 바다 밑으로 침전되거나 퇴적되지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09
인간이 달에 첫발을 내디딘지 22년. 그러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달여행 제2막인 '달기지 건설'을 앞두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간추려본다.60년대와 70년대 우주개발의 모든 목표는 달이었다. 즉 달은 광활한 우주를 향한 인간의 꿈을 펼친 첫 관문이었던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1969년 7월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08
거꾸로 뒤집어 붙였다. 수알로킨(Sualocin)과 로타네브(Rotanev)가 바로 그들인데 이것은 이
천문학자
의 이름인 니콜라우스 베나토르(Nicolaus Venator)를 거꾸로 읽은 것이다.이 사실은 몇십년이 지난 후에야 밝혀졌는데 그때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그 이름에 익숙해진 후여서 다시 바꿀 수 없었다. 결국 그는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08
대륙이동설과 해저확장설이 만나 이뤄진 판구조론은 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각종 자연현상을 잘 설명해준다최근 일본의 운젠화산과 필리핀의 피나투보화산의 폭발, 그리고 세계 여러 곳에서의 지진발생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옛사람들은 화산과 지진이 초자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08
로웰은 발견에 실패하고 일생을 마쳤다.로웰이 죽은지 14년 후인 1930년 2월18일,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우(Clyde Tombough)는 로웰이 예언했던 방향에서 7˚떨어진 곳에서 행성으로 보이는 작은 점을 찾아내고 이를 같은해 3월13일에 공식 발표했다. 즉 태양계의 아홉번째 행성이 발견된 것이다. 이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08
이같은 희미한 별이 두개 더 있다.소련 레닌그라드 근교의 풀코포 천문대의 여성
천문학자
0. H. 추도비체바는 25년의 격차를 두고 촬영한 성운사진을 비교해 M27의 팽창 속도를 계산했다. 그녀는 성운이 매년 0.068″(초)씩 팽창하고 있다고 발표 했다. 만약 이것이 정확하다면 M27은 3, 4천년 전 탄생했을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사실을 근거로 우주의 기원을 창조주로 돌리려 하는 것은 과학적인 태도가 아니다. 2
천문학자
이며 무신론자인 영국의 프레드 호일경은 지구상에서 생명이 우연히 생길 수 있는 확률은 10의 4만승분의 1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는 결론적으로 "창조주가 있음에 틀림없다”고 했다. 프레드 호일경의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07
의 아들이고 먼 해양의 지배자인 넵튠(Neptune)이라고 명명됐다.1846년 10월 10일에는 영국의
천문학자
라셀(Lassell)이 해왕성의 위성으로 추측되는 천체를 관측했고, 다음해 7월에 이를 확인했다. 그후 이 위성은 트리톤(Triton)으로 명명됐다. 다른 위성 네레이드(Nereid)는 1949년 미국의 쿠이퍼(Kuiper)가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