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d라이브러리
"
경로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안다. 결국 학생들은 자신이 누구를 만났는지 유추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의 잠복기, 유포
경로
와 방법 등을 배울 수 있다.이 내용은 미시간대가 PDA에서 구현한 ‘쿠티즈’(Cooties)라는 교육용 프로그램이다. 질병이 퍼지는 과정을 학생들이 함께 시뮬레이션으로 알아보는 프로그램이다. 미시간대가 199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인력에 따라서도 이동
경로
가 수시로 바뀐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우리가 원하는 이동
경로
를 따라 입자를 움직일 수 있다. 탄소로 만든 양파최 교수팀이 다루는 나노 입자는 다양하다. 금이나 은 같은 금속 입자, 각종 산화물, 나아가 단백질을 붙인 나노입자까지 모두 그의 손 안에서 ‘앞으로 ... ...
특집3. 백설공주 신드롬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근원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 티로시나제의 작용을 억제해 멜라닌이 생성되는 화학적인
경로
를 차단하기도 한다.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이미 생성된 멜라닌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다. 멜라닌이 합성되는 화학 반응의 중간 단계에서 산화 멜라닌을 환원해 밝은 색의 환원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얼굴이 넓적한 사람과 길쭉한 사람이 오른쪽 귀로 듣는 소리는 다르다. 소리가 이동하는
경로
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점을 고려해 ‘맞춤형 머리전달 함수’를 개발하고 있다. 맞춤형 머리전달 함수를 입체음향 기계에 넣으면 내 체형에 맞는 풍부한 3차원 입체음향을 들을 수 있다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일렁거림을 보정함으로써 선명한 천체의 영상을 얻는 것이다.대기의 요동에 따라 별빛의
경로
를 추적해 대기 효과를 보정할 수 있다면 마치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 공간에서 천체를 관측하는 것이나 매한가지다. 그것도 허블우주망원경보다 10배나 싼 가격으로 말이다. 더군다나 적응광학 기술은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나온 바이러스는 현실 세상을 돌아다니고 있다. 디스켓 하나뿐이던 악성코드의 감염
경로
는 이제 인터넷, 이메일, 공유 폴더, 메신저 등으로 다양해졌다.그뿐인가. 휴대전화와 PDA, 나아가 게임기마저 바이러스의 공격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새로운 모바일 기기가 생겨날 때마다 악성코드도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어느 곳에서 얼마나 일어났는지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 증발산이 일어나 탑까지 온
경로
를 파악한다는 뜻에서 이 방법을 ‘발자국 분석’이라 부른다.관측된 데이터를 특정 방정식에 적용하면 초당 숲 전체에서 대기로 얼마만큼 증발산이 일어나는지도 알아낼 수 있다.현재 연구팀은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사실은 물이 땅속에서 한 덩어리로 같이 움직이지 않고 지역이나 깊이에 따라 다른
경로
와 이동 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래된 지하수는 지상에서 일어나는 홍수나 가뭄 같은 기상 변화에 그리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오염물질들이 자연정화작용을 거칠 수 있는 시간이 있다. 따라서 ... ...
모차르트 효과 정말 있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요제프 로트마이어가 장례 뒤 10년이 지난 후에 직접 도굴했다고 한다. 이후 여러
경로
를 거쳐 유골은 1902년 모차르트의 고향인 잘츠부르크의 모차르테움 재단에 안치됐다.하지만 모차르트 무덤의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사후 관리가 소홀했던 탓에 두개골의 주인이 누구인지 ... ...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북상했다. 기후대가 북상하면서 태풍권도 같이 북상한 셈.오재호 교수는 “태풍의
경로
가 일본 남쪽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작년에는 운이 좋게도 일본 열도를 따라서 움직였기 때문에 한국에 피해가 적었다”며 “만약 한국이 중국이나 미국만큼 땅덩이가 넓었다면 당연히 태풍의 영향권에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