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절
절
귀절
말마디
글귀
문구
공
d라이브러리
"
구
"(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보는 것은 그것이 제시하는 진화과정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생물체의
구
조는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에 그들의 생존전략을 알려준다. 그러나 이보다 중요한 것은 생명과정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성이다. 열린계인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생명과정에서 환경에 의해 초래되는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금성의 궤도가 놓여 있는
구
면에 내접한 정팔면체에는 그 위에 수성의 궤도가 놓여 있는
구
면이 내접한다. 케플러는 이 ‘놀라운’ 발견을 설명하기 위해 그린 그림을 1596년에 출판한 책 ‘신비의 우주’에 실었다. 플라톤과 케플러와 같은 과학자가 이런 괴짜 이론을 주장했다는 사실은 믿기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가지고 있었으며, 12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진 비교적 짧은 목을 가지고 있다. 요바리아 티
구
이덴시스는 복잡한 척추뼈를 가지고 있지만 등뼈와 꼬리는 북미지역에서 발견되는 용각류인 디플로도쿠스와 아파토사우루스에 비해 단순하다.탐사팀에 의해 발견된 다른 공룡은 니제르사우루스 타쿠에티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수의 고릴라를 키우고 보호하고 있다. 이런 노력에도 불
구
하고 고릴라와 오랑우탄은 지
구
상에서 거의 멸종 상태이며, 번식이 빠른 편인 침팬지도 위험한 상태다. 유인원은 어느 곳에서나 살 수 있는 사람과 달리 숲에서 살아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들의 사회에 적응하며, 그들 사회의 기술과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들과 지도 교사들은 서울대 고교장 추천 전형으로 치러진 지필고사에 주목한다. 과학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문제를 해 ... 있지도 않을뿐더러, 산성인 DNA는 히스톤(histone)이라고 하는 염기성 단백질들을 감싸고 있는 특이한
구
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 ...
우리 두뇌 담긴 이동전화기 완성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삐리리리~ 삐리리리~” 여기저기서 핸드폰이 울리고 있다. 이어진 전화선도 없는 이동전화가 어떻게 울릴 수 있을까. 웬만큼 아는 사람이면 ‘전파가 안테나로 ... 없는 우리에게 가장 효율적인 일 아닌가요?” 암호문 같은 알고리듬을 프린터에서 빼내며 돌아보는 연
구
원의 한마디다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유교를 최고의 가치기준으로 삼던 조선시대에는 아이를 낳지 못하면(無子) 칠거지악(七去之惡)에 든다고 했다. 여인이 남편에게 소박을 맞아도 할 말이 없었다 ... 누
구
인가 하는 윤리적인 문제도 낳았다. 시험관아기는 아기를 갖고 싶어하는 사람이면 누
구
에게나 아기를 갖게 했던 것이다 ...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갖는 시간 단위다. 불교에서 정의하는 겁은 거의 상상할 수 있는 가장 긴 시간이다. 달
구
지로 한나절 걸리는 거리(약 14km)를 한 변으로 하는 정육면체의 바위를 선녀의 옷자락으로 1백년에 한번씩 스쳐 바위가 다 닳아 없어져도 겁이 끝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그 바위 만한 크기의 그릇에 겨자씨를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늦게 알았다."한편 왓슨, 크릭과 경쟁을 벌였던 폴링은 1954년 분자
구
조와 화학결합을 연
구
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1962년 반전(反戰)운동으로 노벨평화상을 거머쥐었다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구
조로 이루어져 있다.몬드리앙이나 칸딘스키 이후의 미술가들은 그림의 이러한 물질적
구
조에 주목했다. 화가들은 조형적 실험의 단계를 넘어 물질을 가지고 실험을 시도했다. 로스코의 ‘오렌지색과 노란색’(26)과 같은 색면회화가 등장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로스코의 주장은 바로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