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SF 창작 강의도 병행하고 있다. 소설 ‘파수’, ‘세라페이온’, ‘발푸르기스의
밤
’과 번역작으로는 ‘영원의 끝’ 외 다수가 있다.sohardplanet@hotmail.comSF단편 연재는 이번 호로 마칩니다.지금까지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않고,
밤
에 잠이 오게 하는 멜라토닌 호르몬도 정상인보다 늦게 분비되기 때문에 정작
밤
에는 불면증상이 있다. 기면증 환자들도 늦게 잤기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고 낮에 졸린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각성을 흰 돌, 수면을 검은 돌이라고 했을 때 색깔별로 모아 놓은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비밀을 풀 수 있을까?고대로부터 인류는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수학적인 노력을 해왔다.
밤
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며 우주를 상상했고, 나아가 별의 움직임에 어떤 규칙이 있는지 알아내고자 했다.요하네스 케플러(1571~1630)는 기하학을 통해 천체 궤도의 종류를 처음으로 알아낸 수학자이자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보고 싶은 마음과 우주를 보는 창만 가까이 있다면 언제든지 접할 수 있다. 어느 날
밤
문득 별이 그리워진다면 서울 중심에 있는 과학동아천문대를 찾아 보자. 용산 과학동아천문대 개관이 어떤 의미가 있나요?얼마 전 아이손 혜성 행사가 3일 만에 매진됐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이 별을 보고 ... ...
Intro. 우주론의 역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만들다.1826년하인리히 올버스가 올버스의 역설을 만들다. 별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밤
하늘이 어둡다는 것.1905년알버트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 발표하다. 시간과 공간이 하나의 연속체가 되다.1915년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다. 중력은 시공간을 휜다.1917년아인슈타인이 정적인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시신경으로 산란된다. 많은 빛이 도달한 시신경은 광자를 더 쉽게 붙잡아 깜깜한 겨울
밤
에도 잘 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눈 밖으로 반사되면서 순록의 눈이 파랗게 보인다. 이에 비해 낮이 길어 빛의 양이 많은 여름에는 반사판이 남는 빛을 모두 눈 밖으로 반사하기 때문에 ... ...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지구가 아이손 혜성이 지나간 곳에 들어서면서 혜성의 부스러기가 수많은 별똥별로 변해
밤
하늘을 수놓는다.지금까지 관측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예상만큼 밝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혜성의 밝기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아이손 혜성이 태양을 가까이 지나가며 또 어떤 모습을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매일
밤
우리는 잠을 잔다. 사나운 맹수의 눈을 끊임없이 피하고 쉴 틈 없이 먹을 것을 구하러 다녀야 했던 아주 오랜 옛날부터 그랬다. 일생의 3분의 1을 잠을 자며 보내는 이유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연구해 왔지만, 그럴듯하게 정립된 이론은 아직까지 없었다. 생리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 ...
오직 근육의 힘으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청춘이지 싶어요.”배재고 이재국 학생의 말이다. 그는 대회 전날 격납고 안에서 다함께
밤
을 지새우면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꿈을 품고 도전하던 모습이 감동적이었다고 덧붙였다.전북대 ‘파이어(FIRE)’ 조종사 김상기(항공우주공학과 1학년) 학생은 이번 기회로 새로운 꿈을 갖게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UC버클리 교수가 된다.셰크먼 교수는 돌연변이 효모를 이용해 연구를 시작했다. 어느날
밤
자정 집에서 자다 “빨리 학교의 전자현미경실로 오라”는 전화를 받는다. 부리나케 가 봤더니 돌연변이 효모의 몸 안에 작은 주머니가 가득 차 있었다. 그는 운반주머니가 만들어진 뒤 필요한 곳으로 가서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