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장"(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01년 05호
- 그리고 나중에 더블린대학으로 옮겼다.이후 더블린고등연구소를 거쳐 동 연구소장으로 1955년까지 종사했다. 더블린에서 지냈던 이 무렵 그는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집필하였다. 오랜 망명 생활을 끝내고 1956년 자신의 모교 빈대학으로 돌아왔지만, 곧 병을 얻고 1961년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이 책 ...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사람도 그만큼 많다.그는 1969년에 하버드대학을 그만두고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의 소장이 됐다.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는 1940년대부터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소였다. 그러나 왓슨이 부임할 무렵에는 재정상태나 규모가 아주 나쁜 상태였기 때문에 하버드의 연구실과 비교가 되지 ...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암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의 게놈 연구 수준을 전혀 모르고 있던 스트라우스버그 소장은 인간유전체기능사업단의 연구 결과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공동연구를 하게 된 계기는 국가별로 암이 발생하는 부위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은 대장암이나 유방암이 많고 브라질은 뇌나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이 자료는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생거 센터의 소장인 설스톤박사도 게놈 연구자료를 세계 과학계에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에 크게 기여했다. 설스톤박사는 2000년 6월에 인간 유전자 초안을 공개하는 자리에서 “인간이 인간을 만들 수 있는 매뉴얼이 우리 손에 ...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해온 재미 과학자들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게놈연구소장 김웅진교수,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의 장원희박사, 미 국립보건원 산하 정신의학연구소의 진혜민박사 등이 꼽힌다. 일본 이화학연구소 게놈과학연구센터에서 생명공학연구원으로 자리를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고 평가했다. 영국의 생거 센터 전 소장인 존 설스턴 박사는 “지난 1998년 셀레라가 인간게놈의 염기 서열을 해독한다고 했을 때 다국적팀의 연구가 없었다면 이미 게놈 정보가 사유재산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늘 우리가 축하하는 ...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기록들은 모두 기네스북에 기록될 만한 것이다.러시아 보건부 산하 의료생화학연구소 부소장을 지낸 발레리 폴랴코프는 한번에 4백38일(1년 2개월 12일)을 미르에서 보냈고, 러시아의 세르게이 아브제예프는 3차례에 걸쳐 7백37일(2년 7일)을 미르에서 지내 ‘통합 최장기 체류기록’을 세우기까지 ...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내장된 컴퓨터와 그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은 1990년대 초 제록스 파크의 연구소장이던 마크 웨이져의 ‘어디에나 존재하는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과 같은 것으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이지 않는 컴퓨팅’(Invisible Computing), IBM의 ‘스며드는 컴퓨팅’(Pervasive Computing) 등에서 그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파리대 교수, 1962년 콜레쥬 드 프랑스의 분자생물학 교수를 거쳐 1971년 파스퇴르연구소 소장이 됐다. 1965년 그는 프랑수아 자콥, 앙드레 르보프 등과 함께 ‘효소와 바이러스 합성의 유전적 제어 연구’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으며, 이 외에도 세계 각국의 유수한 대학과 과학단체로부터 많은 ...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등에 의해 2천8백개 이상의 유전자 조각의 해석이 끝났고,경상대에서도 배추 유전자은행(소장 조무제교수)을 설립해 총 8천개를 분석했다.필자의 연구실에서도 배추게놈연구에 표준품종을 이용해 현재 2천개 정도를 해석했다.충남대 방재욱교수에 의해 배추의 염색체 형태 분석이 완료됐는데,현재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