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 인자를 발견했다. 붉은털원숭이는 레서스원숭이(Rhesus macaque)라고도 불리므로 연구자들은 해당 인자에 레서스의 앞자를 따 Rh인자로 이름 붙였다.2. 세계 최초로 우주여행을 시도한 영장류, 알버트인간이 우주선에 오르기까지 많은 동물들의 희생이 있었다. 인간이 우주의 환경을 잘 버틸 수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똥통에 빠진 적도 있어요. 하하~.똥통에 빠졌다고 하면 남들은 기겁을 하지만, 저는 그때 연구자로서 큰 기쁨을 맛봤어요. 정화조에서 똥이 깨끗하게 잘 처리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똥통에 올라섰다가 실수로 빠졌거든요. 그런데 똥에서 별로 냄새가 안 나는 거예요. 정화조가 제대로 작동해 똥이 잘 ... ...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코어 속의 메모리는 시냅스(뉴런과 뉴런 사이)를 담당한다.코어에 들어가는 메모리는 연구자에 따라 저항메모리(RRAM), 상변화메모리(PRA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멤리스터)를 사용하기도 하고, 기존 컴퓨터의 정적램(SRAM), 동적램(DRAM)을 쓰기도 한다. 전력이 없어도 기억을 유지하는 멤리스터가 우리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무기로 개인과 공동체의 정신을 서서히 파괴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테러와 그로 인한 PTSD로부터 우리 모두를 지키는 방법은 서로를 지지하며, 배려하고, 연대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테러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길은 공동체를 이루는 것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상담을 받고, 상담자가 원하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준다. 보통 상위직급의 교수·연구자가 맡으며, 상담내용은 철저히 비밀에 부친다. 우리나라에도 옴부즈퍼슨 제도를 도입한 대학이 있다. 포스텍(2012년 7월 도입)과 KAIST(2013년 9월 도입) 두 군데다.옴부즈퍼슨을 우리나라에도 도입하자는 이야기는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때 가설을 세우고, 실험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 주셨어요. 후배 연구자들을 보면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는데도 가설과 연구 방향 설정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저 역시 그랬는데, 멘토를 통해서 많이 배울 수 있었죠. 저도 학생들에게 그런 역할을 해 주고 싶어서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배척한다.또 다른 예도 지난해 학술지 ‘역사동역학’에 발표됐다. 미국, 프랑스, 영국의 연구자들은 모로코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모로코는 최근 이슬람국가(IS)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늘고 있다. 연구팀은 이슬람 성전을 신봉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평범한 무슬림에게 각각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저렇게 해보라는 조언을 늘어놓는다. 하지만 이런 조언이 오지랖의 첫 번째 단계다. 연구자들은 ‘요청 받지 않은 조언’이 도리어 관계에 해가 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입을 모은다.우선 잘못된 조언은 상대의 자율성을 침해한다. 공부를 시작하려는 찰나에 부모님이 들어와서 잔소리를하고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밝혔다.생물학상 : 티라노사우루스의 운동을 연구하기 위해 닭에게 인공 꼬리를 붙인 연구자가 있다. 국립칠레대 브루노 그로시 교수팀이다. 나무 막대로 만든 꼬리를 닭에게 붙여 닭의 운동을 관찰한 연구팀은 닭의 움직임이 마치 수각아목 공룡의 운동과 흡사하다고 밝혔다(사진➎).진단의학상 :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도전! UNIST ➓ 로드니 루오프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삼박자’ 갖춘 인재와 함께 꿈의 재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세계에서는 다른 연구자의 논문을 참고할 때 꼭 기록을 남겨야 한다. 다른 연구자가 인용한 횟수를 기록한 ‘인용 횟수’는 해당 논문이 얼마나 좋은 연구인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UNIST 자연과학부에는 인용 횟수 100회를 넘긴 논문이 100편이나 되는 학자가 있다. 탄소재료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