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수학동아 l2018년 03호
- ΛCDM 모형의 Λ는 암흑에너지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6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Λ는 아인슈타인이 실수라고 생각하며 뺐던 우주상수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우주상수를 ... 아는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시사과학 뉴스] 콜록콜록, 독감 환자 급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종류로 나뉘어요. H의 종류는 18가지, N의 종류는 11가지이기 때문에 이들의 조합에 따라 이론적으로는 198종류의 A형 바이러스가 만들어질 수 있어요. 하지만 매년 겨울 사람에게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주로 H1N1과 H3N2예요. 한편 B형 바이러스는 최초로 검출된 지역의 이름을 딴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받아도 수긍이 가지만 못 받아도 이상할 건 없다는 겁니다. 피갈리 교수가 최적 운송이론 분야에서는 엄청난 성과를 내고 있는 건 인정하지만, 수학계 전체로 봤을 때는 아직 부족하다는 거지요. 하 교수는 “한 번 더 기회가 있는 만큼 랜덤 행렬 연구와 같은 성과가 또 나온다면 다음 번에는 필즈상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견해를 물리학적으로 해석하고 정리했다”며 “과학자, 선수, 코치가 협업한다는 점에서 이론과 실전이 결합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 검색서비스인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서 테니스 관련 논문은 1010편이 검색된다. 야구는 2194편, 수영은 무려 9538편이 뜬다. 한 교수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습니다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 아는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융합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도 있는 만큼 면접 전 중학교 과정의 이론을 검토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인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논리력 등 다각적인 평가가 가능한 면접을 진행하는 학교가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자신이 지원하는 학교가 어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면 모두 원자로 이뤄졌다. 양자역학은 이런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미시세계에서는 전자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 책은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이라는 코너를 연재한 뒤 여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러던 중 영국의 헨리 모즐리(1887~1915년)는 X선 연구를 통해 1913년 보어의 원자 모형의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원자핵 주위의 전자 구조를 설명했다. 또한 주기율표가 원자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원자번호에 의해서 나열돼야 함을 밝혀냈다. 이에 모즐리는 원자번호를 중심으로 한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