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또 이들 단계마다 어떤 정보가 이용되는지 알 길이 없다. 그저 시각정보가 상위 단계로
전달
될수록 뇌는 점점 더 복잡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인지하고(이 사람이 누구인지, 누구와 닮았는지), 추상적인 정보(표정이 어떤지)까지 생성한다.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는 없다그간 뇌 과학자들은 얼굴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때조차 인간은 종종 착하게 행동한다. 구세군 자선냄비에 돈을 집어넣으면서 그 돈을
전달
받은 불우이웃이 나중에 이자까지 쳐서 갚아주길 기대하는 사람은 없으니 말이다. 보답을 바라지 않고 ‘마땅히 해야 할 일’이라거나 또는 ‘불쌍하고 짠해서’ 행해지는 일방적인 선행이 어떻게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신경세포에서 신호가 발생해도 그 신호의 진동수에 따라 전혀 다른 경로로 신호가
전달
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김 연구원은 이 내용을 박사학위 논문으로 준비 중이다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교수팀 등 공동연구팀은 구조견의 심전도와 활동량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
해 구조견이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웨어러블 슈트(아래 사진)를 개발했다고 11월 1일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슈트에는 구조견의 움직임이나 심장박동 변화를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기침을 하면 흉곽 내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심장과 두꺼운 혈관 속 혈액이 말초로
전달
된다는 겁니다. 실제로 ‘기침 심폐소생술(cough CPR)’이라는 단어가 인터넷에는 널리 퍼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의학적인 근거가 없는 궤변이라고 일축합니다. 심근경색으로 위급한 상황이 오면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배송 시스템에 액세스 할 수 없기 때문에 샘플을 보내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대로 귀하께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후로 한동안은 아무런 소식도 없었다. 히라바야시 박사는 문제의 관벌레에 대해 더 알아낸 것이 있는지 몇 번이나 김 박사를 통해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예를 들어 5비트인 데이터 ‘10100’을
전달
하고 싶다면 ‘101001’을, ‘11100’을
전달
하고 싶다면 ‘111000’을 보내는 겁니다. 만약 데이터를 받았는데, ‘111111’, ‘101000’이라면 어딘가 잘못된 메시지가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요? 이렇게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원래 데이터에 덧붙이는 비트를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만큼 작게 인쇄해 감추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독일에서는 1차 세계대전 당시 정보를 몰래
전달
하기 위해 이 방법을 이용했지요. 모나리자에 사과를 숨겨보자!숨겨 줄 사진의 픽셀에 숨길 사진의 RGB 값을 차곡차곡 나눠봅시다. RGB 값은 숫자 세 개로 표현하고 이진법으로 바꾸면 각 숫자가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등에 일대 혼란이 발생한다. 가령 X선이 전리층의 두께를 변화시키면 인공위성의 신호
전달
시간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위치 계산에도 오차가 생긴다. 강한 플레어는 대부분 태양폭풍도 동반한다. 빠른 속도로 방출된 입자들은 보통 2~3일 뒤 지구를 덮친다. 고에너지 입자의 경우 수 시간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
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뇌로 보내는 신호가 포만감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쥐의 뇌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