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마
제목
화제
과제
테에마
이야깃거리
논제
d라이브러리
"
주제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수학의 신대륙을 찾아서 신일고 Math Pioneer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신대륙을 개척한다는 의미의 동아리 이름처럼 이들은 수학 축전에 한 번도 나오지 않은
주제
를 골라 다룬다. 평소 새로운 수학 논문을 자주 접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들의 눈빛에선 자부심과 함께 사명감마저 느껴졌다.‘2014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에서는 ‘파도반 수열’을 이용한 퍼즐을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심도 있게 다뤘다. ‘나노생체를 이용한 항암면역치료’라는
주제
로 강연한 김재윤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는 “약물로 면역력을 높여 암을 치료하는 첨단 항암면역치료는 아직은 환자 일부에서만 효과를 보인다”며 “개발 중인 의학기술은 기대효과와 치료비용 등을 ... ...
알록달록 색깔 품은 세상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막툼(오른쪽 사진)이 해마다 열고 있어요. 이번에 수상작을 발표한 2014-2015 HIPA의
주제
는 바로 ‘색깔 가득한 삶’이었답니다. 전 세계 사진작가들이 담아낸 화려한 삶의 색깔을 감상해볼까요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튀긴 닭을 매콤한 양념에 버무린 닭강정이 대표적이죠. 미적분학과 만나면서 과학의
주제
가 훨씬 다양해졌듯이 한식과 만나면서 치킨의 가능성도 무궁무진해지고 있습니다."그동안 우리는 8가지의 공식과 음식을 만났습니다. 딱딱하기만 한 수학공식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쉽게 다가갔길 바랄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관점에서 인간 골격과 치아를 연구해왔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 원시 병리학 등이 관심
주제
고, 미라도 그런 관점에서 연구했다. 5년 뒤부터는 고대의 DNA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이미 청동기와 신석기 사이 그리스인들의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Q 한국의 미래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이제 겨우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겠다 싶었는데, 아뿔싸…. 이번엔 더 어려운
주제
다. 뭐? 브릭이 전문 연구에도 활용된다고?! 조각을 모아 창작품을 만드는 브릭의 기본 정신은 수학과 비슷하다. 영국 쉐필드대 수리통계학과 유지니아 챙 교수는 수학과 브릭의 공통점을 분석해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연구교수가 ‘백북스’ 독서클럽 모임에서 입자물리학을
주제
로 강의를 했을 때였다. 뒤풀이에서 박용태 백북스 서울 모임 회장이 이 교수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우리가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방정식을 직접 수학으로 풀어 볼 수 있을까요?” 이 교수는 ... ...
[참여] 게임카페 1기, 첫 번째 수업 상상력과 논리의 멋진 조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기획할 게임에 대한 기대가 점점 커졌답니다. 게임은 함께 만드는 것이번 첫 수업의
주제
는 ‘길찾기 게임’이었어요. 길을 찾아나가는 게 목적인 게임이에요. 조를 짜서 앉은 참가 독자들은 먼저 길찾기를 소재로 한 여러 가지 게임을 직접 해봤어요. 평소에 즐기던 게임이 등장하면 반가워하기도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논문의 저자에서 빠지고 말았다.앨퍼와 허먼으로서는 무척 화가 나는 일이었지만, 이
주제
로 박사학위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교수가 바로 가모프였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실상 우주 핵생성 문제를 푸는 데 가모프는 거의 도움을 주지않았다. 하지만 사람들은 빅뱅이론을 말할 때 가모프를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경험해보니 각각 장단점이 있어요. 연구를 하게 되면 본인이 궁금했던, 알고 싶었던 연구
주제
를 깊이 공부할 수 있어요. 반면 회사는 깊이 있는 공부는 어렵지만 본인이 알고 있는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고 눈으로 보면서 얻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둘 중에 어떤 경로를 선택하든 본인의 노력이 가장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