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해도 아직은 외계행성까지 가긴 어렵다. 하지만 수세기 동안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천문학은 더욱 발전할 것이고,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가 ‘제2의 지구’ 땅을 밟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빛 공해가 없던 과거에는 충분히 중요한 별로 인식될 수도 있었을 거란 얘기지요.” 천문대장님의 지적인 말솜씨에 소녀는 또…, 아, 아닙니다.금사빠는 따로 있는 걸까소녀가 묻습니다. “난 아무래도 ‘금사빠’ 같아. 금방 사랑에 빠지는 사람이 따로 있는 걸까?” 소녀는 아마도 김 대리를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인류가 처음으로 태양계의 끝 명왕성과 조우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7월 14일 오전 7시 49분 57초(한국시간 오후 8시 49 ... 명왕성의 지름은 2370km(지구 지름의 18.5%)이고 카론의 지름은 1208km(지구 지름의 9.5%)이다. 천문학자들이 지금까지 추정한 값보다 다소 크다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없었다면, ‘허블의 법칙’은 나오기 힘들었다. 하지만 고상한 척 영국 억양을 흉내 내며 천문대에서도 승마복과 승마신발을 신고 다니던 허블은 자신의 가장 중요한 동료를 언제나 무시하며 천대했다.빅뱅이론의 원조 앨퍼와 허먼르메트르는 최초로 ‘뜨거운 우주 탄생 모형’을 제안한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측정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초은하단의 움직임도 새롭게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위 초은하단들이 모두 ‘거대한 끌개(Great Attractor)’라는 이름이 붙은 아벨 3627(왼쪽 사진➍) 쪽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함께 움직이는 초은하단 무리를 라니아케아 ...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관찰했답니다.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있다는 걸 처음으로 관측해 발표했어요. 무거운 별들이 탄생하는 지역(W75N)을 관측한 결과로,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원시별의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목적과 기능을 쉽게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다 2006년 11월, 발견한 지 105년 만에 영국의 천문학자 마이크 에드먼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그 기능과 사용법을 확인했다. 안티키테라 기계장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컴퓨터로 불리며, 과거에 우주의 흐름과 별의 움직임을 관찰하기 위해 만든 ...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작한다고 밝혔다. GMT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카네기 연구소의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 부지에 22층 높이로 건설된다. 완성된 GMT는 구경이 25.4m로 138억 년 전 원시은하의 빛처럼 약한 빛도 검출할 수 있다. 태초에 형성된 천체의 존재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남기고 있는 보고입니다. 때문에 왕의 업적을 연구하는 역사학자도, 옛 하늘을 연구하는 천문학자도, 기후를 연구하는 공학자도 다 실록을 읽고 있습니다. 실록은 임진왜란 등 숱한 전쟁을 거치면서도 2124권이 남아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그런데 전쟁도 이겨낸 실록이 하나 이기지 못하고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아인슈타인이 틀렸다고 발표하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1979년에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가 나서서 1919년의 데이터를 현대적인 기법을 동원해 정밀하게 다시 조사했다. 시야가 좁은 4인치 렌즈로 측정한 결과는 약 1.90초, 천체사진렌즈의 결과는 약 1.55초로 분석돼 아인슈타인이 옳았음이 밝혀졌다.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