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d라이브러리
"
팀
"(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최소 4명 이상을 한 조로 해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놀이다. 이날은 5명씩 3조로
팀
을 짰다. 5명이 원을 만들어 막대를 각자 앞에 놓고 넘어지지 않도록 잡고 있다가, 진행자가 부르는 수에 따라 조원 전원이 잡고 있던 막대를 놓고 오른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그리고 옮겨간 자리의 막대를 재빠르게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탐사를 통해 선운산에 사는 것이 확인됐답니다.바이오블리츠에 참가한 ‘닌자거북’
팀
의 제갈준(대전 샘머리 초 3) 대원은 “버섯 탐사와 조류 탐사가 특히 즐거웠다”며, “생각보다 더 많은 생물들이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2018년 바이오블리츠코리아는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
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
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었다. 사람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의 신청 기간은 한 달이다. 신시아 매시슨 NIH 국립암연구소 연구본부 평가지원
팀
박사는 “만약 어떤 연구에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왜 실패했는지, 중간에 연구 주제를 바꿨다면 왜 바꿨는지 등 그 이유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연구 과정의 과학적 우수성을 입증하면 문제 삼지 않는다”며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시리즈 중 하나인 슈퍼스타 디스트로이어를 9분 31초 만에 완성했어요. 블록 3152개를 8개
팀
이 나눠 조립한 결과 세계신기록을 세운 거예요. 많은 사람이 참여했다고는 하지만 보통 11시간 걸리는 모형을 10분 만에 조립했다는 건 놀라워요. 더 신기한 것은 10분 안에 레고를 완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이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43cm 광학망원경)을 이용한 광학 관측 결과를 보고했다. 다른 관측소와 달리 한국 연구
팀
은 남반구 전역에 수평으로 걸쳐진 네트워크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만큼 관측에 훨씬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특히 하나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는 KMTNet의 조밀한 관측 자료는,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올리겠죠? 이처럼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인터넷은 누가 발명했을까요? 바로
팀
버너스리라는 컴퓨터 공학자랍니다.버너스리는 1955년 6월 8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1980년부터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일하며 연구 결과와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했지요. 이 프로젝트의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이 1.5배를 1.44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6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지요. 연구
팀
은 1.5를 4/3까지 낮출 수 있을 거라고 추측했는데, 이마저도 매우 어려워 아직까지 풀리지 않았습니다. 5500을 얼마까지 줄일 수 있을까?두 도시를 여행할 때 이동방향에 따라 비용이 다르게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0.2는 지진 에너지가 약 2배 차이난다는 뜻으로, 지진 피해도 그만큼 커질 수 있다. 연구
팀
은 “이번 연구 결과가 지진 조기 경보 알고리듬을 만들 때 짧게라도 대처할 시간을 벌어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n564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구조와 관련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니콜라스 파루지아 영국 런던대 연구원
팀
이 성인 44명을 대상으로 귀 벌레 현상과 뇌의 피질 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귀 벌레 현상을 자주 느끼는 사람은 우측 전두엽과 측두엽의 피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얇았습니다. 이 부위는 감정과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