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연구했다. 그리고 백합에 주목했다. 백합은 꽃잎이 다른 꽃에 비해 크기 때문에 하늘 높이 날고 있는 곤충의 눈에도 쉽게 띄고, 특유의 향기도 널리 퍼뜨린다. 가장 신기한 점은 다 피었을 때의 백합 꽃잎을 모으면, 꽃봉오리였을 때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다. 커다란 꽃잎이 어떻게 작은 꽃봉오리 안에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라지는지 등의 변화를 민감하게 측정하는 데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LSST는 넓은 하늘을 빠르게 찍기 위해 사람의 상반신 크기만 한 3.2기가픽셀의 CCD(빛을 전하로 바꿔 이미지를 얻어내는 센서)를 설계했다. DSLR 카메라에 들어가는 CCD 수만 개를 합쳐놓은 규모로, 지금까지 개발된 카메라 중 규모가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운동장으로 뛰어나간 날, 소금은 친구들을 따라 운동장으로 뛰어나갔다가, 운동장에서 하늘을 한 번, 표준어 교실 쪽을 한 번 바라보았다. 교실에는 선생님이 혼자 앉아 있었다. 그때 소금은 깨달았다. 자신과 선생님이 다른 것이 아니었다. 자신과 다른 아이들만 서로 다른 것도 아니었다. 자신과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궤도에 섭동을 일으키지 못한다. 계산이 틀렸는데도 찾을 수 있었던 건 로웰이 밤하늘을 샅샅이 뒤졌기 때문이다. 천왕성을 발견한 방법(망원경으로 우연히 찾기)과 같다. 명왕성은 나중에 행성의 반열에 끼지 못하고 퇴출당한다.그럼 진짜 행성 X는 어디 있는 걸까. 여전히 해왕성의 궤도는 이해하기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나와 다투려고 하지도 않았다. 항상 나를 너그럽고 친근하게 대하기만 했다.이게 무슨 하늘이 내려 준 천재와 노력하는 범재의 구슬픈 대결, 뭐 그런 것도 아니었다. 박승휴는 나보다 월등히 뭘 잘하지는 못했다. 학교 시험을 예로 들자면, 매번 삼, 사 점 차이, 두 세 문제 차이로 나보다 잘 했다. 그냥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특정 숫자가 나오도록 속임수를 쓰지만 않는다면 주사위가 멈췄을 때 어떤 숫자가 하늘 위를 보고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다시 주사위를 던진다. 처음 던졌던 수와 똑같이 나올 수도 있고, 새로운 수가 나올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수가 나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주사위를 던지는 ...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 지역의 기후 데이터를 조합해 빙하가 녹는 속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그 결과, 하늘에 구름이 덮인 흐린 날이 맑은 날에 비해 빙하가 약 30%정도 빨리 녹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구름이 빙하를 담요처럼 덮어 지표면에서 반사되는 태양 에너지를 가두기 때문이에요.리프지크 교수는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비대칭인 깃털이 필요합니다. 이런 구조를 통해 위로 뜰 수 있는 힘이 만들어지지요. 하늘을 나는 새의 날개에도 이런 깃털이 있어요. 놀랍게도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대칭 깃털을 가진 여러 공룡의 화석이 중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뜻이지요.통계로 완성하는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대멸종 사건으로 끝나버렸다. 익룡은 멸종해버렸고, 오늘날에는 새들이 그 뒤를 이어 하늘을 지키고 있다. 이들은 과거의 익룡처럼 아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진화했다. 하지만 새가 아무리 화려한 모습으로 진화해도 과거 익룡이 보여준 장엄함을 재현해내지는 못할 것이다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형형색색의 열대어 떼가 살아가고 있었다. 이 중 ‘니모’로 알려진 흰동가리와, 별이 밤하늘에서 떨어진 듯한 불가사리가 가장 인기가 많았다. 기자와 몇몇 탐사대원은 밤송이처럼 삐죽빼죽한 성게로부터 격한 환영을 받기도 했다. 성게 가시에 찔린 곳이 파랗게 부어오르기도 했지만 아름다운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