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화산 폭발은 한번 발생하면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것은 물론 넓은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무서운 자연재해입니다. 폭발 자체가 ... 연구를 통해 화산 폭발 위험 지도를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비정질 고체 x’ 2018년 12월 13일자에 실렸습니다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이론을, 일반인에게는 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실질적 조언을 들려 준다. (인싸력+1) 국제
학술
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모두 ‘2019년 가장 기대되는 과학 분야’ 중 하나로 극지 프로젝트를 꼽았다. 미국과 영국이 공동으로 남극의 붕괴 시점을 조사하는 대형 프로젝트를 2018년 4월 시작했기 ... ...
[과학뉴스] 자도 자도 피곤하다면, 알츠하이머 의심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수면(Non Rapid Eye Movement Sleep) 시간이 짧을수록 알츠하이머에 걸릴 위험성이 높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논렘 수면이란 뇌파가 느려지면서 눈동자가 움직이지 않는 깊은 수면으로, 이 때 뇌와 몸이 휴식을 취하면서 피로를 회복한다 ...
[과학뉴스] 손목 움직여 피아노 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손목을 이용해 피아노를 연주하는 부드러운 골격의 로봇 손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2018년 12월 1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뼈와 인대를 모방한 재료를 3D 프린터로 인쇄해 로봇 손을 제작했다. 이 로봇 손은 손목의 움직임에 따라 손가락이 움직이는 수동적인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투여해 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만,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인 ‘생물학 및 제약회보’ 2007년 9월 1일자에 실렸다. doi:10.1248/bpb.30.1816 타미플루가 체내 효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도 나왔다. 미야기 타에코 일본 미야기 암센터 연구소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만들어왔다. 지금까지 쓴 과학자만 400명이 훌쩍 넘는다. 이 같은 공로가 인정돼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그를 2018년 가장 주목할 만한 과학자 10인으로 선정했다. 과학동아는 1월 14일 화제의 인물 웨이드와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Q 위키백과에 꾸준히 여성 과학자 전기를 쓰는 이유가 뭔가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교수팀은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형 인공 홍채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바이오머티리얼스’ 2013년 1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16/j.biomaterials.2013.01.020 이 교수팀은 빛을 받으면 분자 구조가 바뀌는 ‘스피로파이란(spiropyran)’이라는 소재를 이용해 홍채를 제작했다. 그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만든 호랑이 게놈 지도를 토대로 전 세계 호랑이의 기원과 진화 경로를 밝힌 연구가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8년 12월 3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8.09.019 이 연구에는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암연구소 게놈다양성연구소장을 지낸 스티븐 오브라이언 박사가 참여했다. 그는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분석한 결과와 서양인의 유전체 표준(GRCh37)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는 2018년 4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공개됐습니다. doi:10.1038/s41598-018-23837-x 현재는 한국인 1만 명 이상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울산 만 명 게놈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인의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교수팀은 우주가 지속된 137억 년 동안 쏟아진 별빛의 총량을 계산하는 데 성공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018년 11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그간 우주에 방출된 광자의 개수를 모두 더하는 방식으로 별빛의 총량을 계산했다. 그중에서도 파장이 매우 짧고 고에너지를 지닌 감마선을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