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3,56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비행기보다 훨씬 빠른 열차도 개발 중이라고? 무려 시속 1200km라고? 믿을 수가 없는 걸? 최근 미국에서는 비행기보다 약 1.5배 빠른 시속 120 ... 수 있어요. 아마 10년 이내에 튜브 속을 초고속으로 달리는 열차를 탈 수 있을 거예요. 상상을
현실
로 만드는 기술, 이미 우리 가까이에 있답니다 ... ...
[소프트웨어] 눈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지~ 착시 퍼즐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꼭대기에 올라갈 수 있어요. 사실 ★표 길과 ●표 길은 같은 평면에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
에서는 서로 닿을 수 없어요.착시 게임의 아버지는 에스허르?모뉴먼트 밸리는 네덜란드의 유명한 판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어요. 그래서 에스허르가 사용한 착시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개개인의 홍채를 인식해 맞춤형 광고를 트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영화 속 기술을
현실
화하기 위해 몇 가지 아이디어를 연구 중이다. 한 예로 미국 사노프 사는 홍채인식을 하려는 사람을 고정된 좁은 문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움직이는 사람의 홍채를 3m 거리에서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가상
현실
(VR) 기기 모두에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순히 보는 수준을 넘어 가상
현실
로 ‘체험’하기 때문에 이해가 빠르고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된다.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표현할 수도 있어 항공기를 개발하는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골라 사용할 수도 있다. KISTI 가시화기술개발실에서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교수는 “수학과를 가기엔
현실
의 문제에 너무 관심이 많았다”고 말했다. 컴퓨터공학이
현실
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들어봤다. 이선민 컴퓨터공학부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궁금합니다.허충길 크게 사람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만드는 연구와,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를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렇게 빠른 초고속열차들이 개발되고 있다니…, 깜짝 놀랐어. 그런데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겼어. 열차가 달리기 위해선 선로나 튜브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잖아? ... 봐. 하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정말 초고속열차를 타고 세계여행을 할 수 있겠지? 꿈이
현실
이 될 날이 정말 기다려진다~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동아리다. 학교 축제 홍보앱을 만들기도 했으며, 앞으로는 과학실험 시뮬레이션을 VR(가상
현실
)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앱을 개발할 계획이다.임베디드SW 동아리는 로봇 프로그래밍을 더욱 깊이 있게 공부하며 자율적으로 연구한다. 김 교사가 이끄는 스멋프는 1학년 26명으로 이뤄져 있으며 스크래치를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응모할 때부터 연구를 마치기까지의 과정에 담아 봤다.[편집자 주]이 글에는 한국 과학계
현실
에 대한 약간(?)의 스포일러가 담겨 있습니다. 학생 독자 여러분은 한국 과학계가 쇄신하는 과정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기사를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내 이름은 이공계. 부모님이 훌륭한 과학자가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한편으로는 너무나도 대조적인 한국의
현실
이 안타까웠다. 올해 한국 과학자가 노벨상을 타지 못한다면 그것은 어쩌면 다행스런 일이다. 이런 생태계에서 노벨상이 나온다면 기형적인 한국의 연구 생태계가 건강한 것처럼 포장될 수 있다. 한국이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진행하면서 느낀 게 있다. 한국은 아직 노벨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나라라는 냉정한
현실
이다. 한국은 해외 선진국에서 유행하는 과학을 배워와 국내 젊은 학생에게 전파하는 데 대부분의 자원을 투자할 수밖에 없던 개발도상국이었다. 그들과 겨뤄볼 만한 여유를 찾은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물론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