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뉴스
"
부분
"(으)로 총 6,074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글로리' 전재준이 빨간 렌즈 끼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4
필터가 들어있다. RMOptical 제공 드라마에서 적록색약을 앓는 전재준은 항시 가운데
부분
이 빨간 렌즈를 착용한다. 색약 환자들을 위해 1997년 영국 코닐사가 개발한 '크로마젠 렌즈'다. 색약인 사람의 원뿔세포는 빛의 파장에 따른 색을 섬세하게 구분하지 못하고 비슷한 색으로 인식한다. 만약 ... ...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추진기가 들어가야하기 때문에 눕히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쇄빙연구선에는 대
부분
360도로 움직일 수 있는 대형 선회식 추진기가 설치되는데, 추진기를 설치하고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쇄빙연구선은 선박의 규모와 건조 목적, 연구 환경 등을 고려해 디자인된다. 이 때문에 ... ...
낮아지는 의료행위 법 장벽...다음은 문신, 예방 접종?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없을 것"이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약사들이 거의 모든 예방 접종을 하고 대
부분
의 국가에서 간호사도 의사 지도없이 예방 접종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시대 백신 접종이 일상화된 가운데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예방 접종 행위의 문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 ...
근위축증·수면병 치료제…올해 주목할 임상시험 11개는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미국 미시간대 신경학과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2상에서 효과를 입증할 만한 결과가 상당
부분
확보됐다.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다면 임상 현장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난소암 항체약물접합체(ADC)와 관련한 임상시험도 이름을 올렸다. 미국 제약사 이뮤노젠의 ADC 후보물질 ‘엘라히어’는 ... ...
정기석 위원장 "위중증 환자 줄면 다음주 실내마스크 해제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있다는 입장이다. 정 단장은 "위중증 환자가 늘면 그 숫자의 절반은 사망한다"며 "그
부분
은 개선된 적이 없고 개선이 요원한 상황으로 이 숫자가 안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방역정책 완화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했던 중국은 감소세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정 단장은 "중국은 아마도 12월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작동한다. 기존 이차전지와 달리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
과 전기를 저장하는
부분
을 구분해 출력과 용량을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전지의 대용량화도 가능하다.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화재·폭발 위험이 없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레독스흐름전지의 주요 핵심소재인 바나듐(V)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60년간 '덜' 혁신적이었던 과학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01.07
혁신적인 성과가 많았던 과거의 과학 연구를, 아래쪽의 네모난 격자 모양을 이루는
부분
은 기존의 성과를 개선하는 현대의 과학 연구를 나타낸다. 러셀 펑크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논문 4500만 편과 특허 390만 개를 분석해 지난 60년간의 과학기술 트렌드 변화를 살폈다. 그 결과 ... ...
中 2030년 예정 유인 달 착륙 시뮬레이션 영상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대한 개발 계획을 설명하는 내용을 담았다. 달 착륙 시뮬레이션은 영상 마지막
부분
인 약 50분에 시작된다. 중국이 지난해 건설을 완료한 우주정거장 톈궁의 모습이 먼저 등장한다. 이어 톈궁에 한 모듈이 연결된다. 이 모듈은 유인 달 탐사를 위한 모듈인 것으로 보인다. 이 모듈은 톈궁에서 분리해 ... ...
주변 환경 따라 성장방향 바꾸는 인공물질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연구팀은 고분자 용액의 '비용매 유도 상분리 현상(NIPS)'을 이용해 성장이 세포의 끝
부분
에서만 일어나도록 실험 조건을 만족시켰다. 그 결과 성장 중 빛, 접촉, 중력과 같은 외부 자극을 스스로 인지해 성장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됐다. 개발된 인공 물질 시스템은 다른 물질을 이송하는 관으로도 ... ...
“간헐적 단식, 신체 유전자 발현에 영향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4
신체 내 소화관의 모든
부분
이 똑같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소장의 위쪽 두
부분
인 십이지장과 관련된 유전자는 시간 제한 식사로 활성화되는 반면 소장 하단의 유전자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사람의 24시간 생물학적 시계를 방해하는 교대 근무가 소화기 질환이나 암에 어떤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