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뉴스
"
수정
"(으)로 총 1,348건 검색되었습니다.
[ESC의 목소리 (14)] 나는 왜 교양과학을 읽게 되었나
2017.06.17
토론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또한 그 결과는 다시 전문가들의 동료평가(peer review)로
수정
과 보완을 거칩니다. ● 최종적인 지식은 과학이 아니기에 과학은 위대하며 권위에 도전한다 우리는 과학적이라는 말에 대해 또 다른 오해를 갖고 있습니다. 과학은 완전 무결한 불변의 진리라는 생각 혹은 ... ...
미국 여성 연예인들의 노출과 검열
팝뉴스
l
2017.06.16
미국인 연예인들의 노출 성향이 충격적일 수밖에 없었고 그래서 검열을 거쳐 이미지를
수정
했다. 위는 그런 사례 중에서도 ‘역대급’에 속하는 것들이다. 크리스티나 아길레나의 배꼽은 검은 색 상의와 청치마로 가려졌다. 마일리사이러스의 다리도 완벽히 숨겨졌다. 또 너바나의 유명한 앨범 ... ...
스케치북 위에 탄생한 블랙홀
팝뉴스
l
2017.06.08
흑백 묘사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소트카크베이의 스케치북에서는 흑백의
수정
기둥이 솟아나고, 흑백의 부엉이가 날아오르며, 흑백의 물고기가 헤엄친다. 최근 그는 사진에 디지털 작업을 해서 더욱 사실적으로 보이는 환상을 창조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작품을 완성할 때마다 ... ...
고래의 짝짓기를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5
GIB 제공 고래의 짝짓기 행동에 관한 새로운 해독법이 나왔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다라 오르바흐 연구원팀은 지난 4월 22~26일 미국 시카고에서 ... 관찰했다”며 “해양 포유류 생식기의 진화과정뿐만 아니라 멸종위기종을 보존하기 위한 인공
수정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
2017.06.03
되어서 내 의견이 틀렸다는 건 곧 내가 틀렸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의견을
수정
하는 것 역시 자존심 상하는 있을 수 없는 일처럼 생각되곤 한다. 하지만 사실 사람인 이상 세상 모든 지식을 다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은 불가능 하고 어떤 부분에선 틀리는 일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또한 ... ...
브루스 보이틀러 교수 “유행 따르지 말고 당신만의 연구를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같이 일한 비서 베시 레이턴 씨 등과 연구에 대해 토론을 했다고 말했다. 토론을 통해
수정
할 부분을 찾아내고, 다시 처음에 세운 목표를 생각하며 연구를 계속했다. 보이틀러교수는 마침내 1998년 쥐에서 LPS 수용체의 유전자를 찾아냈고, '톨라이크리셉터(TLR)-4'라 이름 붙였다. 브루스 보이틀러 ... ...
포털 방발기금 징수를 반대하는 5가지 이유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6.02
징수는 또 하나의 역차별 사례를 늘리는 것이다. 5. 방발기금의 이상한 운용부터
수정
해야 개정안은 포털로부터 조성한 방발기금을 지역 방송 등의 지원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다양성 차원에서 지역방송의 존재는 필요하고, 정부 차원에서 이들을 지원하는 것은 필요하다. 하지만 그러기 ... ...
[반려동물 정책제안 ①] 동물에 대한 국가 철학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1
통과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동물보호법 개정안이 당초 안대로 통과된 것이 아니라
수정
을 거쳐 일부가 통과된 것은 아쉬움을 남겼다. 동물과 관련된 법이 쉽게 바뀌지 않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근본적으로 동물을 어떻게 분류하고 취급할지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독일에서는 ... ...
해수부, '인공 2세대' 명태 15만 마리 방류…'바다의날' 기념
포커스뉴스
l
2017.05.30
통해 탄생한 인공 2세대다. 2015년 인공적으로 부화시켜 기른 어미로부터
수정
란을 확보해 부화시킨 새끼들이다. 이는 해수부와 강원도가 2014년부터 진행해오고 있는 '명태살리기 프로젝트'의 결과다. 해수부는 2015년에도 인공 1세대 명태 1만5000마리를 방류한 바 있다. 이번에는 강원 한해성 ... ...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
과학동아
l
2017.05.26
길이 8.8m, 무게 5t으로 우주왕복선의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롭게
수정
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오랜기간 우주에 머물 수 있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총 네 차례 우주에 머물면서 베일에 싸인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 공군은 X-37B의 임무가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