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밸브
판막
틀
팬더
팬더곰
판다곰
테
뉴스
"
판
"(으)로 총 1,052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만들었다. 20~200n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이 촘촘하게 수없이 뚫려있는 얇은
판
을 만든 것. 이 구멍 안에 액정 분자가 형성하는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형성시켜 제각각 나선모양의 나노 구조체로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 또 나노 구조체의 지름을 바꾸면 내부에서 생기는 나선 간격도 일정하게 ... ...
숨은그림찾기, ‘전자피부’ 어디 붙어 있을까요?
2014.10.20
박장웅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 UNIST 제공 피부에 붙여도 티가 나지 않는 투명한 전자피부가 개발됐다. 박장웅 울산과학기술대(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배병수 KAIST 신소재공학 ...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20일자 온라인
판
에 게재됐다. ... ...
‘한국
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불리기도 했다. 지금까지 노벨 과학상 수상자 573명 중 여성은 16명에 불과하다. ‘한국
판
퀴리 부인’은 언제쯤 나올 수 있을까.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여성 과학자를 찾아봤다. ●기초와 응용 모두 강한 특허의 귀재 경남 진주시 경상대에는 유명한 부부 과학자가 있다. 김윤희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
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모세르 부부)가 하루 종일 붙어다는 건 아니랍니다. - 에드바르드 모세르,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요즘은 그렇지 않겠지만 필자가 대학을 다닐 때만해도 캠퍼스 커플(CC)이 흔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대학원에 들어가자 실험실 ... ...
주사로 하이드로겔 맞으세요~
2014.09.17
대한 최신 연구를 정리한 리뷰 논문을 ‘프로그레스인폴리머 사이언스’ 온라인
판
최신호에 개제했다. 리뷰 논문에는 지난해 12월 ‘네이처 포토닉스’에 나온 한 교수팀의 연구도 소개됐다. 한 교수팀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광학 특성이 우수한 주사형 하이드로겔을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때문에 한번 충전해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도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교체한 마그네슘
판
은 재처리를 거치면 다시 쓸 수 있다. 2012년 한국과학기술원구원(KIST)은 이 배터리를 개발해 시험운행까지 마쳤지만 아직 상용화 논의는 없는 상황이다. 아예 고속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배터리를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12일자 온라인
판
에 게재됐다. 금나노 탐침을 이용한 뇌 신경 분석결과. 기존의 텅스텐 탐침에 비해 훨씬 정밀한 뇌신호를 얻었다. - KAIST 제공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서울은 단단한 변성암인 편마암 지대가 대부분이다. 도봉구와 관악구는 거대한 화강암
판
위에 놓여 튼튼하다. 결국 서울에서 싱크홀이 일어나는 이유는 자연 현상이 아닌 인위적인 데서 찾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토목공사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5일 서울 송파구 석촌지하차도에 발생한 ... ...
우리집 아이의 성적인 질문, 어떻게 대답해 줄까
2014.08.10
영국의 태아 의학 전문가 폴 모런 등이 참여했다. 특이할 점은 이 책의 한국어
판
번역도 국내 의료진이 직접 나섰다는 점이다. 김암 울산대 의대 및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교수, 태아의학 전문가인 이필량 울산대 의대 교수, 신경해부학 전공자인 박경한 강원대 의대 교수, 황종윤 강원대 의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충이 숙주를 속이는 법
과학동아
l
2014.08.03
fluctuation)을 표현한 것이다. 스티브 위버 미국 UC버클리 물리학과 박사팀은 실리콘
판
위에서 양자의 요동을 관찰한 결과, 여기에는 최적화된 방식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양자의 요동은 표지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시간적으로도 연속적인 성질을 나타냈다. 위버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