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6,25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광 발전설비 고장, 현장 가지 않고도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고석환 책임기술원이 개발한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 발전 설비는 2020년 기준 17.3기가와트에서 2021년 기준 21.2기가와트로 늘었다. 태양광 설비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만큼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관리 기술도 필요 ... ...
생체 신호 10배 이상 정밀하게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SUPPORT를 활용한 생쥐의 생체 귀 조직 형광 이미지 개선. 왼쪽 원 형광 이미지에서는 낮은 신호대잡음비로 인해 조직의 세부 구조 관찰이 불가능하지만 오른쪽 SUPPORT를 이용해 신호대잡음비를 높이면 세부 구조와 빠르게 이동하는 적혈구를 관찰할 수 있다. KAIST 제공. 생체 조직 내 신호를 형광현미 ... ...
NASA, ‘다누리’ 촬영 달 영구음영지역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NASA가 운용하는 LROC와 다누리에 실린 섀도캠이 촬영한 이미지를 결합해 달 영구음영지역의 섀클턴 크레이터 이미지를 완성했다. NASA 제공.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에 실린 미항공우주국(NASA)의 ‘섀도캠’이 햇빛이 전혀 닿지 않는 달의 영구음영지역 내 ‘섀클턴’ 크레이터의 안쪽을 촬영한 ... ...
[과기원NOW] KAIST, 고용량 배터리 수명 증대 방법 '나노스케일'로 영상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홍승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홍승범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협업해 배터리의 수명 특성 향상 메커니즘 영상화 결과를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원자간력 현미경 기반의 켈빈 프루브 현미경을 이용해 1회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스마트제조 '디지털트윈' 가이드라인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발표한 '제조 디지털 트윈 표준모델 및 연동 가이드라인 1.0' 표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스마트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제조 디지털 트윈 표준모델 및 연동 가이 ... ...
누리호 주역, 경남 사천으로?…우주항공청법, 항우연 등 입지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19일 국회에서 열린 에서 이재형 우주항공청 설립추진단장이 관계자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여야가 우주항공청 특별법 제정을 논의하기 위해 꾸려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안건조정위원회가 19일 주최한 3차 회의에선 우주산업과 관련한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입지를 두 ... ...
열량 높은 '아몬드' 다이어트 식단에 넣어도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9.19
고단백에 높은 열량을 가진 아몬드는 체중증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단백질 식품으로 알려진 아몬드는 높은 열량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식이요법을 하는 사람들은 종종 아몬드를 식단에 포함해야 할지 고민에 빠진다. 아몬드를 다이어트 식단에 넣을 ... ...
이상목 생기원 신임원장 "지역 특화산업 지원 정체성 더 강화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9.19
신임 원장이 19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취임기념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지역 특색사업 경쟁력 강화에 본격 나선다. 기존에 산재돼 운영됐던 3개 연구소를 포함한 10개 지역본부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역할을 강화한다 ... ...
'화재 위험' ESS에 쓰이는 리튬이온전지 대체할 안전한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19
울산 가스공장 ESS(에너지저장장치) 발생한 화재 현장. 연합뉴스 제공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쓰이는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값싸고 안전성을 높인 수계이차전지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오시형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 ...
적은 데이터 학습해도 신약 후보 내놓는 생성형 AI
동아사이언스
l
2023.09.19
남호정 교수 연구팀이 신규 약물 구조를 생성해주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이용한 신약 디자인 플랫폼을 개발했다. 약물의 효과를 최적화한 저분자 화합물을 생성형 AI로 생성해주는 플랫폼이다. 신약 개발 ... ...
이전
986
987
988
989
990
991
992
993
9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