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트리 닮은 별무리의 사연
과학동아
l
200312
이 별까지 꺾어 잇는다. 초록색 트리 대신 붉은색이 감도는 트리가 완성됐다.케플러도
연구
한 베들레헴의 별우연히 여러 별들이 한데 모인 것일 테지만 크리스마스 트리 모양을 한 게 신기하다. 배경의 붉은 성운이 좌우로 삐쭉삐쭉 뻗어나온 트리의 가지와 잎처럼 보여 더 실감난다. 또 실제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12
컴퓨터와 대화하고 컴퓨터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시스팀이다미국의 벨(Bell)
연구
소가 미니컴퓨터용으로 개발한 회화형 오퍼레이팅 시스팀 오퍼레이팅 시스팀(operating system: OS)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수법과 순서를 모은 소프트웨어체계이다 UNIX는 C언어로 쓰였으며 사용하기 ... ...
국산 고속전철 3백km 돌파하자 박수·환호
과학동아
l
200312
드디어 충북 오송의 경부고속철도 시험선 구간에 도착했다. 쭉 뻗어있는 레일 한가운데
연구
원들을 대동한채 위풍당당하게 서있는 한국형 고속전철은 보는 순간 “우와” 하는 탄성을 자아낸다. 돌고래를 연상시키는 유선형의 세련된 외형은 “기차도 예쁠 수 있구나”하는 생각을 던져준다 ... ...
4백30년전 애달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12
연구
를 시행해야 한다.이번 파평윤씨 모자 미라에 대한 종합
연구
는 우리나라 미라
연구
에 한획을 그은 사건으로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사람이 죽은 후 나타나는 현상들죽음과 동시에 생명활동이 정지되므로 시체에는 자연의 법칙에 따른 여러가지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를 시체현상(postmortem changes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12
“한동안 정신이 없었습니다. 르몽드를 비롯해 전세계 언론들이 취재를 요청하고 저희
연구
결과를 소개하더군요.” 이 교수는 무엇보다도 이제 더이상 주위에서 의심의 눈초리를 느끼지 않아 좋다고 한다.그렇다면 벼농사는 한반도에서 시작됐을까? 이 교수는 “가장 오래된 볍씨가 나왔다고 해서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312
프린터가 나오고 저녁 뉴스에는 첨단 생체조직 프린터로 만든 콩팥을 돼지에 이식하는
연구
가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미래에는 지금의 잉크젯 프린터처럼 3차원 프린터가 흔해서 당장은 이상하게만 느껴지는 ‘2013년의 한 가정의 생활 모습’이 너무나 당연한 일이 될지 모른다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12
활동하지 못한다.한번 분무에 50달러 _ www.flumist.com사스 진단장치싱가포르 국방과학기술
연구
소와 테크놀러지 일렉트로닉스사가 공동개발한 체온감별 장치. 사스 환자처럼 열이 있는 환자를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면 온도가 높은 부분은 붉은색으로, 낮은 부분은 푸른색으로 나타나 구별해낼 수 ... ...
자연에서 열 얻어 냉난방하는 열펌프
과학동아
l
200312
나온 때는 1950년대 초. 미국에서 주택용 열펌프가 생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충분한
연구
개발을 거치기 전에 시장에 나온 열펌프는 신뢰도가 낮아서 보급에 실패했다.열펌프 사이클의 온도가 냉동기 사이클의 온도보다 높아서 냉동기에서 사용해 왔던 압축기가 견디지 못했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 ...
유전자 하나로 종 분화되는 달팽이
과학동아
l
200311
속하는 20종의 달팽이 중 4종이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고 있다.
연구
자들은“이번
연구
는 유전자가 하나만 바뀌어도 종이 분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말했다 ... ...
물 이용한 새로운 발전법 개발
과학동아
l
200311
전자계산기처럼 작은 전자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팀은 앞으로의
연구
를 통해 상업용 전지를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존 기빈스 박사는 “대규모 전력은 생산이 어렵다”면서도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장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990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