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개
국의 대표팀만은 아니다. 검정색 옷을 입고 호루라기를 불며 경기장을 누비는 심판들, 5
개
의 까다로운 관문을 통과해 선발된 만큼 누구보다도 공정해야 하지만 가끔은 흔들린다. 영국 월버햄프턴대학교의 앨런 네빌 교수는 축구 심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한 그룹에게는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뱀의 눈은 적외선투시카메라 같기때문에 밤에도 사람을 볼 수 있다.곤충의 겹눈은 수천
개
의 홑눈이 모여 만들어진 복합렌즈다. 겹눈에 비친 물체의 움직임은 모자이크 화면처럼 과장되어 보인다. 잠자리를 잡기가 쉽지 않은 이유도 겹눈이 우리의 움직임을 금세 포착해 내기 때문이다. 곤충은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발생하며 구름에서 낙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구름이 없는 하늘에서 낙하하는 수도 있다
개
기일식이 끝나고 광구(光球)의 일부분이 달 주변에서 벗어나는 순간 밝은 광구가 채층(彩層)과 내부 코로나의 둥근 테에서 번쩍거려 다이아몬드처럼 보이는 현상 끝에 다이아몬드가 박힌 케이싱(casing ;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청소년만 들을 수 있는 고주파 소리를 발생시켜 불량청소년을 퇴치하는 장비(평화)를
개
발하고 쇠똥구리가 쇠똥을 구별하는 법(영양학), 요리하지 않은 스파게티가 부서지는 과정(물리), 치즈 속으로 전달되는 초음파의 속도에 온도가 미치는 영향(화학)을 알아내며 말라리아모기가 냄새나는 발과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어린이 SF소설을 펴낸 소설가다.재능이야 그렇다 쳐도 부족한 연구 시간을 쪼
개
언제 소설을 쓸까? 그는 “소설을 쓰는 시간이야말로 달콤한 휴식 시간이자 연구의 연장”이라고 말한다. 소설을 쓸 때 전체의 줄거리와 구성을 미리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안 교수는 소설도 일종의 ‘사회적 ... ...
태풍 잡는 레이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태풍 ‘산산’은 현재 독도 부근을 지나고 있습니다. 이 영향으로 독도에는 강한 바람과 함께 물결이 높게 일고 있습니다. 태풍의 구름 모습 보시죠.”태풍 ... 아주 정밀한 원자시계를 만드는 일에서부터 원자레이저와 같은 새로운 양자장치를
개
발하는데까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 ...
7427466391.com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계산해보면 정답은 199981이다.구글은 2004년 ‘{자연상수 e를 십진 전
개
할 때 연속된 10
개
의 숫자로 이뤄진 첫 번째 소수}.com’이라는 수학 문제만 담긴 간판을 실리콘밸리 중심가를 통과하는 고속도로에 세워 놓기도 했다. 정답은 7427466391이다. 이 문제를 풀어 http://7427466391.com에 접속하면 2 ...
문신하면 덜 아프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조사했다. 촉각계를 사용해 피부에서 가까운 두 지점에 자극을 주고, 이 자극을 두
개
로 구별할 수 있는 최소거리를 측정했다.실험 결과 문신이 있는 부위는 없는 부위에 비해 촉각이 무딘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자극점을 구별할 수 있는 최소거리가 문신이 없는 피부는 평균 28mm, 문신이 있는 피부는 ... ...
바이러스 속의 나노 메모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교수는 “TMV의 가늘고 긴 구조는 나노입자를 부착하기 적합해 바이러스 한
개
당 평균 16
개
의 백금 양이온을 부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전류를 흐르게 하면 바이러스의 RNA로부터 단백질에 부착된 백금 양이온으로 전자가 전달된다. 전기장을 걸어 백금이 이온화된 것과, 되지 않은 것에 따라 0과 1을 ... ...
토성 고리는 위성연결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토성 고리의 생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이번에 공
개
된 사진은 카시니의 광각카메라가 토성의 뒤편 2만2000km 떨어진 지점에서 3시간 동안 찍은 165장을 합성해 만든 것이다 ... ...
이전
992
993
994
995
996
997
998
999
10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