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강을 발견하다동토 코어를 얻고 보니, 문득 지난 10여 년 동안의 치열했던 논란과
연구
가 떠올랐다. 화성에 생명체가, 혹은 생명체의 흔적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정보와 존재하지 못할 것이라는 정보가 교차하면서 궁금증을 더해갔던 시간들. 화성에 직접 사람이 가 보면 좋았겠지만 당시에는 화성에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받았다(러플린은 2004년부터 2년간 카이스트의 총장을 맡았다). 이렇듯 물리학계는 중시계
연구
를 통해 양자역학과 고전역학의 경계를 설명하는 올바른 답을 아직 찾는 중이다.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법칙◀ 자연 속의 프랙탈. 계속 확대해도 전체 모양이 반복된다.법칙이 있다고 해서 미래를 항상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31.71%로, 벨기에(85.02%)와 러시아(71.05%)에 이어 조 3위다. 알제리는 12.22%로 가장 낮다. 또
연구
팀은 브라질(19.95%)이 우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독일(14.68%)과 아르헨티나(12.05%), 스페인(6.2%)도 유력한 우승후보로 점찍었다.과연 이 예측이 맞을까? 1982년 스페인 월드컵을 앞두고 옛 소련은 ‘브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여기서 가장 능숙하게 로봇을 조종하는 1등 파 일럿이 시축의 주인공이 될 것이다.정
연구
원은 “시축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보면 느리 게 걸어와서 살짝 공을 건드리는 정도”라고 말했다. 하 지만 세계인이 지켜보는 축제의 개막식에서 하반신 마 비 장애인이 스스로 일어나서 공을 차는 모습은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
팀의 존 호
연구
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조직에 위협되지 않을 정도로 작고 안전한 기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불로영생의 약’은 젊은 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판타지 소설에서 늙은 마녀는 예뻐지기 위해 처녀의 피를 먹는다. ‘엽기적인’ 이런 장면에 과학적 근거가 있는 걸까. 늙은 쥐의 피를 젊은 쥐의 피로 바꿨더니 ‘젊음’을 ... 있다.
연구
진은 피 속에 노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GDF11 외에도 더 있을 거라고 보고 후속
연구
를 할 예정이다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물건으로 가로 막혀 있거나 유지관리가 되지 않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
진은 이 기술을 초고층빌딩에 적용하면 막대한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초고층빌딩에서는 30층마다 1개층을 피난안전구역으로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화장실로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2001년 처음 나온 영화 ‘해리 포터’에서 주인공은 아버지가 물려준 투명망토를 이용해 수 차례 위기를 모면한다. 그저 둘러 쓰기만 하면 감쪽같이 몸이 보이지 않는 ...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연구
팀은 앞으로도 호기심을 갖고
연구
를 계속해 나갈 겁니다.”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커피 광고에서 왜 커피가 항상 크림색 컵에 담겨 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연구
에서는 추가로 음료를 담는 용기의 ‘색’이 어떤 효과를 주는지 구체적으로 밝혔다. 노란색 캔은 레몬 향을 더 강하게 했으며, 푸른색 컵은 빨간색 컵보다 갈증을 해소시켜 주는 효과를 냈다. 분홍색 컵은 더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일은 지금도 끊임없이 계속 되고 있다. 중력파를 발견한 지 약 두 달이 지난 현재 바이셉2
연구
팀의 관측결과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빠르면 10월에 이번 플랑크우주망원경 관측 데이터에서 빠진 영역이 메꿔질 때까지 이 논란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까지 우주의 탄생 이전부터 ... ...
이전
993
994
995
996
997
998
999
1000
10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