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겁
영원무궁
무궁
무량
무한량
무량무변
d라이브러리
"
무한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 기계를 통역하는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8605
버리고 자동생산과정에 의해 개발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개념에 의하면 환경변화에 따른
무한
적인 유지보수의 딜레머를 거의 해소할 수가 있을 것이다 ... ...
바다위에 해상도시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605
8만km²)과 총연장 1만7천2백km(육지부 8천9백km, 도서부 8천3백km)에 달하는 해안선이 있으며,
무한
한 바다가 있는 것이다.더구나 수심이 2백m를 안넘는 황해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의 무수한 섬들이 개발여하에 따라 훌륭한 공간자원이 될 수 있다. 우리에게는 아직 '미래의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는 ... ...
평범해지고 싶어하는 수재들
과학동아
l
198605
한다는 것이다. 단순한 테크닉에 만족하지 않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려는 태도는
무한
한 가능성을 발견한다"고 밝혔다.매주 금요일 저녁에는 시립교향악단을 초청하여 음악회를 개최하고 무용발표회를 갖는 등 문화행사도 개최하고 있다. 이는 고도산업사회를 이끌어 갈 첨단기술공학자를 ... ...
바이오매스 잠재력
무한
한 녹색 에너지
과학동아
l
198605
많이 생산되고 있는 바이오매스는 장점도 많다. 우선 매년 계속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무한
한 자원이며,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에 비해서 공해가 적으므로 자연생태계에 피해가 적다. 또 이용하는 과정이 매우 쉬워서 여러가지로 응용될 수 있고 취급하거나 보관하기가 매우 쉽다. 한편 ... ...
한반도의 천연자원 미래의 자원보고, 바다
과학동아
l
198605
3면이 바다여서 이에 거는 기대도 크다. 특히 바다는 풍부한 식량자원과 해저광물 그리고
무한
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미래의 자원보고로 꼽힌다. 바다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사진과 상상도를 통해 살펴본다 ... ...
해양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05
위력으로 인류를 재난에 빠뜨리곤 했던 해양이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한
한 에너지의 보고로 바뀌고 있다.지구표면의 3분의2 이상을 차지하는 해양은 조석(潮汐) 해류 파랑(波浪) 등의 형태로 방대한 양의 에너지를 간직하고 있어, 최근 이러한 에너지 자원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 ...
서울의 소음공해, 위험수준이다
과학동아
l
198605
마는 것이다.소리는 이렇게 우리생활을 윤택하게 하여 주며 즐겁게 하여 준다는
무한
한 존재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고마움을 모르고 바쁜 현대사회를 그저 묵묵히 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 본다. 소리를 이롭게 이용하는 슬기를 우리는 일찌기 알고 있었다. 그러나 ... ...
블랙홀의 정체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04
외부에서 보고 있기 때문에 별의 표면이 수축하는 것이 R>${R}_{G}$에서 R=${R}_{G}$까지
무한
히 긴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생각될지 모르나 실제는 그렇지 않다. 결국 R<${R}_{G}$인 부분은 이미 죽어버려서 볼 수 없고 R=${R}_{G}$에서 느리게 수축하는 표면의 일부만 보는 셈인데, 이 때 여기서 나오는 빛은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04
활발이 응용되는 단계에 이르렀다.21세기 과학의 중요한 부분을 떠맡을 레이저광의
무한
한 가능성은 아무도 그 전부를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예컨대 반도체 레이저와 광섬유를 이용한 광통신은 적어도 10억명이 동시에 통화를 해도 아무 혼란도 일으키지 않으며, 레이저 칼을 사용하면 피를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03
(Metrodorus of Chios)에 의한 것이다. 그는 "큰 밀밭에 밀이 한대만 자라는 것이나 이 넓고
무한
한 우주에 생명체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 등은 자연의 섭리에 위배되는 것"이라 하였으며 이탈리아의 수도승 '지오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는 수없이 많은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믿었으나 1600년에 교회가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