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착시 노리는 패션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부정적인 효과로 전환될 수 있다. 패션에서의 착시는 그 ‘허’와 ‘실’이 분명히
구별
돼야 한다.얼마 전 세계적인 모델들이 거쳐 간 브랜드에 한국 모델이 선정돼 화제를 일으킨 바 있다. 키 1백78㎝에 다리 길이 1백16㎝, 밑위 길이(허리선부터 엉덩이길이)를 뺀 순수한 다리 길이만 93㎝. 하체의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파괴력도 5배 이상이나 향상됐다. 조준경에는 적외선 장치가 있어 야간에도 적의
구별
이 가능하다. 또한 첨단 레이저 거리 측정장치로 적을 조준하기 때문에 기존의 소총보다 정확성이 5배 이상 좋아졌으며 사정거리도 2배 이상 길어졌다. 아군은 푸른색 적군은 붉은색미 특수부대원들은 OICW 소총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1884년부터 1890년 사이에 런던의 한 박물관에서 돈을 받고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을
구별
하거나 장미 냄새를 얼마나 잘 맡는지 등의 지능검사를 실시했다. 그렇지만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지능을 검사한 것은 프랑스 심리학자인 알프레드 비네가 처음이다. 비네는 1905년 30개의 질문을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만여가지의 혼합색을 구분할 수 있으며, 같은 계통의 색깔이라도 2백50여가지를
구별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에서일까. 세상은 수많은 색상으로 치장돼 있으며, 사람들은 이렇게 다양하고 아름다운 색상을 보면서 즐거워하고 행복해한다.우리가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들도 흑백에서 ... ...
Ⅳ 사인 감독과 주자 그들만의 언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하지만 관중이 많아 시끄러운 경우라면‘내가 잡겠다’는 말이‘네가 잡아’라는 말과
구별
될리 없다. 따라서 무조건 어떤 소리를 지르는 선수가 끝까지 책임진다고 미리 약속한다면 혼란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살펴보자.남성과 여성. 인간이 간직해 온 두가지 성이다. 남성과 여성은 겉모습부터
구별
된다. 하지만 정작 남성과 여성이 무엇이며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다. 백과사전을 펼쳐봐도 ‘남성(여성)이란 여성(남성)에 대응하는 개념’이란 모호한 설명에서 시작해 ... ...
약되는 독, 독되는 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강한 것을 독이 있다고 했다. 하지만 독성이 있거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경우와는 다르게
구별
했다.셋째, 현대적인 의미와 일맥 상통하는 경우로, 독약은 독성이 있거나 부작용이 있는 한약을 말한다. 중국 수나라 때 소원방이 지은‘제병원후론’중에는“무릇 약물들 중 유독이나 대독하다고 말하는 ... ...
미역 성분으로 만든 캡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쓰인다.■용액에 따라 캡슐의 색이 변하는 이유붉은 양배추의 색은 산과 염기를
구별
할 수 있는 지시약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수소이온의 농도(pH)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변한다. 따라서 카멜레온 캡슐의 색이 변하는데는 붉은 양배추즙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붉은 양배추즙에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이해했기 때문에
구별
한 것은 아니었겠지만, 두 화가의 작품에 나타난 복잡한 패턴을
구별
할 수는 있었던 모양이다. 더욱 황당한 실험은 바로 다음 실험이다. 그들은 이번엔 피카소와 모네의 그림을 거꾸로 벽에 걸어놓은 후 비둘기에게 같은 실험을 되풀이했다. 그러자 피카소의 그림을 찾는데는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굳어지게 됐다. 물리학자가 오랫동안 신봉했던 대칭성이 깨진 것이다.‘ 자연이 좌우를
구별
한다.’이는 물리학자들에게는 매우 이상한 현상이었다. P대칭성이 깨진다는 사실은 곧바로 물리학에서 중요하게받아들여졌다. 1957년 리와 양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소립자 세계의 왼손잡이와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