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몸무게가 늘거나 줄 때 몸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스나이더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교수팀은 실험참가자 23명의 유전체와 단백질, 대사물질, 미생물 구성 등 분자 정보를 수집하고 몸무게 증감에 따른 이들의 변화를 분석했다. 생명 현상과 관련된 대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작년 말에야 최종 완성돼 코스를 익히기 어려웠다. KT와 한국스포츠개발원 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선수들이 실제 트랙을 주행하는 것처럼 훈련할 수 있는 ‘루지 시뮬레이터’를 2016년 개발했다. 루지 시뮬레이터는 전자 센서가 부착된 루지 썰매와 50인치 디스플레이, 그리고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신뢰할 만한 실험 결과가 없었다. 과학으로 ‘브레이킹 포인트’ 찾는다연구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레이저로 거리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장비를 개발했다. 레이저를 쏜 뒤 컬링 스톤에 부딪혀 되돌아온 신호를 받아서 거리를 측정하고, 스톤이 지나가는 동안 속도를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8자리 이상의 알파벳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이뤄진 비밀번호’. 요즘 웬만한 온라인 사이트는 모두 이렇게 복잡한 조건의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이런 비밀번호는 만들기도 어렵지만, 외우는 건 더 어렵다. ‘패스워드 증후군’이라는 말까지 생겼다. 하지만 내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신기술이 국민 생활에 미칠 영향을 가늠하기 위해 매년 진행하는 ‘기술영향평가’의 2017년 주제를 바이오 인공장기로 정하고 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11월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017년 12월 18일부터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을 소재로 한 웹드라마 ‘뜻밖의 히어로즈’가 방영됐습니다. 심장, 각막, 인대를 이식 받은 뒤 초능력이 생긴 고등학생 3명이 주인공인데요. 인대를 기증받은 민수호(최종훈 분)는 이식 후 괴력이 생겼고, 심장을 이식 받은 배준영(이민혁 분)은 소심한 모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학생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국내 8개 영재학교 중 유일하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로 정부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이공계 영재를 위한 학교다. 때문에 의학이나 약학 계열 대학으로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지원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과학영재학교 재학생이 의·약학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1~100까지의 수를 모두 더하면 몇일까?”초등학교 수학 수업 시간이었습니다. 선생님은 아이들이 1부터 100까지 차례로 더해서 답을 구할 거라 생각하며 문제를 냈어요. 당연히 시간도 오래 걸리겠다고 생각하며, 잠시 쉬기 위해 자리에 앉았습니다. 그 순간 학생 한 명이 손을 번쩍 들며 답을 말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에서 열린 마이크로칩 파티지난해 8월 1일, 미국 위스콘신주의 IT기업 ‘쓰리 스퀘어 마켓’에서 특이한 파티가 열렸어요. 바로 직원들의 손에 마이크로칩을 심는 ‘칩 파티’였지요. 이날 직원 85명 중 50명이 자신의 손에 칩을 이식 받았답니다. 이들은 칩으로 문을 열고 복사기를 사용하며,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탈리아의 천재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 ‘모나리자’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캔버스에 구현됐다. 작품의 크기는 고작 0.05μm²(제곱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모나리자의 상징인 온화한 미소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다. 룰루 치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