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황금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금성탐사와 혜성탐사를 병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러자
부피
가 큰 풍선은 새로운 장비를 싣는데 걸림돌이 되고 말았다. 제안자의 실언(?)으로 폐기될 운명에 놓였던 풍선은 결국 원래 계획보다 축소 제작됐다.탐사선의 이름은 금성과 혜성의 러시아식 합성어인 베가(VEGA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지나도 여전히 종이 덩어리가 작아진다는 놀라운 사실을 확인했다. 이때 구겨진 종이의
부피
가 시간에 따라 로그급수로 변했다.연구팀은 종이뭉치가 왜 이같은 특징을 갖는지 알지 못한다.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남아있는 것이다 ... ...
구장산술 (九章算術)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원주율 극한값을 계산했으며, 기하학적 원리와 극한을 이용해 여러가지 모양의 넓이와
부피
등을 계산했다. 특히 그는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의 변의 수를 두배씩 늘려가는 방식으로 정다각형의 극한을 이용해 원주율을 계산했는데, 그 결과 π= 3.14$\frac{4}{25}$ 라는 매우 정밀한 값을 얻었다. 후세에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폭탄은 공항의 검색장치를 무안하게 만든다. 우선 예전의 폭탄처럼 일정한 모양과
부피
가 있는 금속성 물체가 아니다. X선 검색대를 아무리 들여다봐도 소용없다는 얘기다. 사전에 폭탄이 있다는 정보를 안다 해도, 또 모든 승객을 일일이 검사한다고 해도 C4를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실제 미국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핵심전략기술로 연구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휴대폰에서 가장 큰
부피
를 차지하는 곳만약 MEMS 기술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면, 소형화는 물론 성능이 월등해지고, 기능이 다양해지며, 제품의 가격도 저렴해진다. MEMS 기술이 반도체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부품을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때 결정립 안의 원자들은 선 형태로 무리지어 이동한다. 결정립의 크기가 작으면 단위
부피
당 결정립이 차지하는 면적이 크므로 상온에서는 선형 원자들이 움직이려면 방해를 많이 받는다. 즉 변형이 잘 안된다. 따라서 상온에서 강도가 크다.하지만 온도가 높으면 상황은 달라진다. 결정립의 크기가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속에 갇힌 개미에게 물은 매우 끈적끈적한 늪처럼 느껴진다. 이는 물체가 작아질수록
부피
에 비해 표면적이 넓어져 물의 점성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또한 표면장력의 영향도 커져 물방울의 표면을 도저히 찢고 나올 수 없을 정도가 된다.미세한 기계가 물 속에서 움직일 때는 물방울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산소가 다량으로 공급돼야 한다. 그런데 기체상태로 산소를 로켓에 싣는다면 상당한
부피
를 차지할 것이다. 따라서 액체상태로 로켓에 연소제를 보관할 수 있다면 로켓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인간은 Saturn-V를 이용해 달에 착륙하는 역사적인 순간을 맛보았다. 이후 냉동액체를 이용해서 군사용과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가라앉을 수 없어 인양작업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비중이란 무게를
부피
로 나눈 값인데, 거북선을 만든 소나무의 비중이 0.5이고 바닷물 비중이 1.03이므로 이론적으로 나머지 무게가 보태지지 않으면 그대로 떠있다는 논리다. 과연 그럴까. 나무의 횡단면을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 ...
풍선과 병이 만났을 때 - 풍선 잡아먹는 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경우일까.■ 왜 그럴까?유리병을 뜨거운 김으로 따뜻하게 데우면 유리병 내부 공기의
부피
가 커진다. 이때 공기가 유리병 밖으로 빠져나가고, 대신 수증기로 가득 차게 된다. 여기에 풍선으로 입구를 막으면 유리병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수증기가 물로 변한다. 따라서 빠져나간 공기만큼 압력이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