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체취와 비슷한 향으로는 ‘용연향’도 있다. 용연향은 말향고래의 장 안에 생긴 돌을
분리
해 말린 물질에서 추출한다. 말향고래 장 안의 분비물이 바다 위에 떠다니는 것을 건져 말려 쓰기도 한다. 이밖에도 사향고양이의 향주머니에서 나온 영묘향, 비버의 향주머니에서 추출한 해리향 같은 향도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논술 도입 초창기에는 수학·과학 통합 문제가 나왔으나 2008학년 입시부터 수학과 과학이
분리
된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교과별 출제는 고려대가 앞장을 서고 있다. 현재 통합문제를 고수하는 대학은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중앙대 등이다. 상위권 대학 자연계 논술문제의 특징과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중 배반포라고 부르는 초기 발생 단계의 배아 내부에 있는 안쪽 세포 덩어리(ICM)를
분리
해서 미분화된 상태로 배양함으로써 생쥐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이 세포는 체외에서 배양(증식)이 가능하며 외부 조건에 따라 생쥐의 몸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되는 전분화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세계 4위의 토륨 산지인 인도는 기존 원전에 토륨을 반응시켜서 우라늄-233을 얻은 뒤
분리
해 화학적으로 처리하고 다시 핵분열을 거치는 3단계 방식을 10년 이상 연구해 왔다. 하지만 홍 교수는 “최근 1~2년 사이에 가속기 기반 원전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말했다. 벨기에는 유럽연합(EU)과 공동으로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생겨 수지상(樹枝狀)세포라고 부른다. 먼저 뇌종양 환자의 혈액에서 수지상세포를 순수
분리
한다. 이를 환자의 종양조직과 안전하게 융합시켜 환자에게 주사하는 것이다. 이렇게 투여한 수지상세포 백신은 환자의 몸 안에서 강력한 항암 면역작용을 유도해 암을 치료한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 ...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샘플 채취 후 지구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잉훠-1호는 포보스-그룬트가 착륙하기 전에
분리
돼 화성 궤도를 돌며 관찰정보를 보내올 계획이었다. 러시아와 유럽의 과학자들은 이번 탐사 임무가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기원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했었다. keyword 2 밤섬 국내 18번째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것”이라고 말했다. 지하수가 돼 논까지 흘러야 하는 물이 콘크리트 수로 때문에 논과
분리
됐다는 뜻이다. 그래서 일부러 물을 대지 않으면 논은 마른 상태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다.겨울철 논에서 물을 빼는 게 과연 정답일까. 논은 작물을 생산하는 곳이지만 생태학적으로는 엄연히 습지다. 다른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밀집 지역에서는 오염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그들은 ‘큰 것’과 ‘작은 것’을
분리
하는 변기를 개발했다. 레버를 누름과 동시에 대소변을 구분하는 ‘노믹스(NoMix toilet)’다. 그냥 버려지는 빗물을 따로 모아놨다가 변기를 내리면 대변은 뻥 뚫려 있는 구멍으로 나가고 소변은 앞쪽의 작은 ... ...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서울대는 토목공학과로 출발했다가 건설환경공학도시가 발달하면서 도시공학부로
분리
됐다. 지구환경이 중요해지면서 환경이라는 이름이 추가됐다. 그 후 종합적인 교육을 위해 건설환경공학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사회기반공학부 등으로 개편됐다. 해외에서는 토목 및 환경공학(Civil and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핀은 플러그와 실린더 사이의 경계선을 넘어서게 된다. 이 때 실린더와 플러그가
분리
되면서 문이 열린다.열쇠는 자물쇠와 꼭 맞지 않아도 된다. 열쇠 구멍의 모양만 같으면 된다. 얇고 끝이 뾰족한 쇠막대를 써도 된다. 이창일 열쇠협회기술학원 원장은 “자물쇠에 맞는 열쇠로 문을 여는 게 아니기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