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사상
이데올로기
세계관
ideoiogi
관념형태
사상경향
d라이브러리
"
사고방식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4 지능, 남녀따라 차이가 있나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일의 차이의 결과 생겨나는 것이며 그 차이는 있더라도 아주 적다는 것이 일반적인
사고방식
이었다.그러나 성호르몬이 생후 조기에 작용해서 뇌 메커니즘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최근 많은 연구결과에 의해 명백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출발점부터 이미 배선이 다른 남자아이의 뇌와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전국의 각 분야 전문과학 기술자들이 제안한 3만여 개의 예측대상 과제 중 약 1천2백 개의 과제를 선정, 4천5백명의 과학기술자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제1회 과학기술예측조사가 나왔다. 이 예측조사 결과에는 200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력과 세계 빅7의 비전이 담겨 있다.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 ... ...
2. 21세기 충격 예견-발간 앞둔 '미래로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세계 컴퓨터세계를 호령하는 인물에게 미래는 어떤 의미일까. 출간 전부터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빌 게이츠의 저작물이 조금씩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정보고속도로 건설의 당위성과 건설 이후의 변화된 인간생활을 예리한 통찰력으로 살핀 이 책은 정보고속도로 건설의 지침서가 될 것으로 ... ...
[1] 보이지 않는 에너지-정신·물질세계 모두 작용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입장을 견지한다. 전체를 항상 부분으로 환원하고 부분의 집합으로서 전체를 설명하는
사고방식
인 것이다.그렇다면 기는 생리세계를 벗어나는 외부세계, 객관적인 형태로는 어떻게 나타나는 것일까. 이 부분은 쉽게 증명되지 않는다. 하지만 명상법이나 기공 등이 자기훈련 또는 건강법으로서 자리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거론하는 것을 들으며 우리사회의 획일적인 가치관에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이러한
사고방식
이라면 79년 노벨상 수상자인 브라운 교수와 정반대 학설을 주장한 올라 교수가 과연 노벨상을 탈 자격이 있을까. 의학·생리학상/길먼과 로드벨세포간 신호전달의 열쇠 G단백질 규명올해 노벨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60년대 초만 해도 우주개발은 러시아의 독무대였다. 그러나 아폴로 대 소유즈, 새턴 대 N1의 경쟁은 미국을 최종 승자로 만들었다.지난 7월 20일은 미국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첫발을 디딘지 25주년 되는 날이다. 이날 클린턴 미국대통령은 닐 암스트롱과 그 외에 달에 착륙했던 10여명의 우 ... ...
원자로 기술자립의 표본 한국형 경수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한국형 가입경수로는 어떤 모델인가. 차세대 원자로라 불리는 안전로와는 어떻게 다른가.요즘 한국형 경수로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북한측이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통해 핵무기의 원료인 플루토늄을 상대적으로 쉽게 추출할 수 있는 흑연감속로를 경수로로 전환할 의사를 표명하고, 러시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건설하고 스스로 자급자족할 수 있는 경제 체제를 이룩한다는 것은 현재의 지구 중심
사고방식
으로는 쉽게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달에서도 남북아메리카 대륙에 필적하는 독자적인 문명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단 고도로 발달한 사이버네틱스(인공지능) 기술과 ...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사건이 될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초고속 정보고속도로. 이 발상의 근거지인 미국에서는 이미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각종 온라인 통신서비스가 실시되면서 '그날'을 대비하고 있다. 우리와 차원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 통신서비스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것은 대단히 유익한 ... ...
(1) 생태계 황폐화, 더 이상 살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제까지 생물은 자연환경에 적응함으로써 생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생물이 새 환경에 적응할 시간적 여유 없이 환경이 갑자기 변화해 간다면 어떻게 될까? 생물은 다른 곳으로 이주하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절멸할 것이다.사람은 얼마나 오랫동안 이 지구 위에 살수 있을까? 지금의 모습이 앞으로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