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배
선진자
선진사회
사회
d라이브러리
"
선진
"(으)로 총 1,57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컴퓨터 그래픽의 도입으로 8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미국 등 이 분야
선진
국에서는 11단계의 훈련장치를 마련해 단계별로 훈련시키고 있다.국내에는 현재 외국에서 도입한 10여대(대당 가격 10억원대)의 모의비행훈련장치가 있는데 이번에 개발된 국산 모의장치로는 7단계까지의 ... ...
옛 소련 원자로 허점 투성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보고서에 따르면 옛소련 원전의 폭발 가능성은 연간 0.1~1% 지난7월 서방
선진
국 정상회담에서는 옛 소련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강한 우려가 표명됐다. 60, 70년대 건설된 옛 소련의 가압수형(加壓水型)원자로들이 구조적인 결함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당장 폐기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대두한 ... ...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때문에 모두가 공유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것이 바로 기술이전에 관한
선진
국과 개도국의 갈등으로 남아있는 문제점이다.여기서 몇가지 아쉬웠던 건 국제적인 관심 속에서 열린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자동차 메이커들의 불참으로 완전한 전시회가 되지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보아왔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보통 과학자에 관한 책이 더 많이 나와야 한다고 믿는다.
선진
국에서는 천재적인 과학자에 대한 미련을 가지지 않도록 사회 여건이 조성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자기의 분수 이상을 강요하는 조기교육의 영향으로 자칫하면 어린 학생들의 마음에 과대한 ... ...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대열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992년 현재 우리나라의 GNP규모는 세계 15위이며,
선진
각국의 우주산업 진입 연도를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는 늦은 편에 속한다.앞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50년대 후반 미국과 옛소련의 국력경쟁으로 시작한 우주개발은, 70년대 ESA와 일본의 NASDA(우주개발 ... ...
2 해류·바람·환경오염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등이 제작돼 선박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항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현재 우주개발
선진
국들은 2000년대를 목표로 지구 시스템을 세부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더욱 정밀한 탐사 센서를 장착한 원격 탐사위성 ADEOSPPF(Polar Platform)를 개발하고 있다. 이처럼 고감도의 원격 탐사 센서의 결과가 나오면 전세계 ... ...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뤄지는 인지과학(認知科學)이 발전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의 듀크대학을 비롯한 서방
선진
국과 옛 소련에서는 국가 교육정책의 하나로 마음에 대한 연구와 초능력의 세계에 대한 연구를 상당한 수준으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이러한 연구에 의하여 지금은 마음상태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마음의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큰 의미를 두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나라 과학기술력이 그처럼 뒤지는 것일까.
선진
10대국 진입을 부르짖는 나라로서 대학에서 만드는 과학실험위성 하나를 쏘아올리는데 온나라가 떠들썩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최초'이기 때문이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을 굳이 상기하지 않더라도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아직 마셔도 괜찮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수돗물에 대한 검사가 세계보건기구(WHO)나
선진
국에서 정하고 있는 음용수 수질기준 항목을 모두 분석하지 않고 있는 한, 실제로는 수돗물이 과연 마실 만한가를 판단할 충분한 자료가 없다는 것이 더 정확한 대답일지도 모른다.환경오염에 대한 국민들의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진입시킬 수 있는 3단형이 목표.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됐듯이 2단 이후의 과정은
선진
국 특히 미국의 견제가 심해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한 관계자는 3단 정도가 개발되려면 정상회담에서 거론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반도체와 자동차를 만드는 나라치고 로켓을 개발하지 않는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