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셔틀
위성
선박
비행기
항공기
우주왕복선
space-shuttle
d라이브러리
"
우주선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작품이었던 것이다.달에 첫발을 디딘 이후에 인류는 우주개발을 위해서 인공위성과
우주선
을 지구 주위와 우주에 발사해 수많은 지식을 얻었고 지금도 얻고 있다. 미국과 서방 선진국들은 그동안의 우주개발을 통해서 국가를 부강하고 강력하게 하는데 필요한 각종 과학기술을 확보했으며, 이런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가두는 장치다. 물론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벽면을 덮는 일은 기본이다. 주로
우주선
의 앞부분에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높은 열에 견디기 위해 덧씌우는 탄소판(타일)을 사용한다. 물론 진공인데도 이유가 있다. 용기 내부에 순수한 연료만을 채워 가급적 핵융합 반응이 많이 일어나게 하기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다음 비행방향을 스스로 결정하는 인공지능 비행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적용됐다. 아폴로
우주선
이 달로 향했을 때 우주인이 직접 길잡이별을 보며 방향을 찾았던 것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이것은 컴퓨터와 관측장치의 발달로 가능해진 것이다. 즉 별을 CCD라는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인간이 맡는다.”우주 미아가 돼버린 원숭이를 구하기 위해
우주선
에 오르는 주인공의 대사이다. 그러나 자기 폭풍을 통과해 도착한 행성에서 주인공의 생각은 어이없는 오만이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그리고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간 노예 상인은 30년 전 원작에 출현한 ... ...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 항아와 오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들으며 해답을 찾아보자.추석 즈음에는 달이 언제나 큼직하고 산뜻하다. 인간이 아폴로
우주선
을 타고 달에 가 표면을 거닌지 이미 30년이 넘었다. 그러나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은 아무래도 항아 선녀와 오강이라는 연단술사, 그리고 우리의 영웅 두꺼비와 토끼가 아닌가 싶다. 우리는 달표면에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배경을 줄이는 방법은 우선
우주선
을 줄이는 것이다. 암스트롱이 달에 갈때 타고 간
우주선
이 아니라 우주에서 날아오는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을 말한다. 이들은 대부분 양성자나 헬륨 핵들과 같은 것들인데, 지구의 대기권에 돌입하면 대기 중 원자와 핵반응을 한다. 여러분들 놀라지 마시라.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수 있다.요즘 어떤 연구를 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최근 블랙홀 분야로 다시 컴백했고,
우주선
(cosmic ray)기원과 중력렌즈에 대해 연구중이라고 대답했다. 천체물리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래에 재미있을 만한 주제에 세가지를 손꼽았다. 먼저 우주에서 어느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달기지는 역사적인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지점에 세워지고 있다.
우주선
도 역시 고요의 바다 언저리에 착륙한다. 우주관광객들은 달을 관광하기에 적합한 우주복으로 갈아입고 하나둘씩 달표면에 내려선다. 범수와 하영은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겼던 닐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1990년대 이후에는 새로운 재료 시대로 진입했다. 일명 신소재로 불리는 새로운 재료는
우주선
을 만드는데 쓰이는 첨단재료에서부터 질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생체재료에까지 인류의 생활 전반에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사람들은 기존의 재료보다 우수한 성질을 보이는 새로운 재료의 출현을 ... ...
중성미자 질량 존재 97% 확신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뮤온중성미자빔’을 만들어 이를 땅속으로 관통시켜 2백50km 떨어진 도쿄대
우주선
연구소의 지하관측장치인 ‘슈퍼카미오칸데’를 향해 발사한 후 뮤온중성미자가 다른 종류로 바뀌는지 조사하는 것이다.KEK에서 슈퍼카미오칸데로 2.2초마다 1백억개의 중성미자를 투사했는데, 대부분은 투과되고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