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불안감이 팽배해 있다. 1억~2억5000만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를 안정적으로 수백 초
유지
해야 한다는 기술적 난관이 불안감의 가장 큰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등이 ITER에 기대를 거는 이유는 핵융합에너지의 가능성 때문이다. 핵융합에너지는 지구에 풍부한 수소를 연료로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광도의 단위에 683분의 1이라는 복잡한(?) 숫자가 포함된 이유는 1 칸델라의 영속성이
유지
되도록, 밝기가 양초 1개의 밝기와 유사하게 정의했기 때문이다. 683은 와트라는 일률의 단위와 그것을 보는 눈의 응답을 연결하는 상수(Kcd)에서 왔다. CIE는 여러 가지 단색 빛에 반응하는 눈의 반응을 종합해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에 두 문제를 고칠 수 있었다. 백 씨는 “시험을 치를 때 가장 어려운 점은 평정심을
유지
하는 것”이라며 “수능을 치른다는 생각 대신 ‘모의고사한 번 더 본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마인드 컨트롤 역시 생활 패턴을 수능 당일과 똑같이 맞춰놨기 때문에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한낮에 점퍼라니, 이상하지요?“시드볼트 내부는 영하 20℃, 상대 습도 40%로 일정하게
유지
되고 있어요. 그래야 종자에서 싹이 나는 것을 막아 종자를 영구 보존할 수 있거든요.”시드볼트 안에는 수만 점의 종자들이 도서관처럼 정리되어 있었어요. 앞으로 수백만 점의 종자가 더 보관될 예정이지요.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상황을 알려주는 ‘힌트’로 사용한다. 가넷은 단단해서 변성암 속에서도 자신의 모양을
유지
한 채 성장하기 때문에 특정한 고압의 환경을 유추할 수 있는 지시 광물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지시 광물을 분석하면 광물이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시나리오를 역추적할 수 있다. 방법은 여러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3위. 우주 유영 중 익사 위험2013년 7월 16일 ISS의 우주비행사들은 우주정거장의
유지
보수 등 여러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ISS 바깥으로 나가 우주 유영을 한다. 우주 유영은 ISS 내에 있는 것보다 더 위험하다. 영화 ‘그래비티’에서처럼 인공위성의 잔해나 파편 등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수도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흡수해 너비가 25배나 늘어났다. 반면 알루미늄판의 나머지 부분 중 80~90%는 마른 상태를
유지
했다.연구팀의 파자드 아흐마디 연구원은 “실험에서 어떠한 화학물질을 추가하거나 코팅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며 “얼음이 자연 상태에서 지닌 화학적 특성을 활용해 도로가 얼거나 서리가 생기는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하지만 아직 메르스 최대 잠복기(2주)가 끝나지 않은 상태여서 여전히 격리 상태를
유지
중이다. 이들은 잠복기가 끝나기 직전인 20일 추가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며, 그 결과에 따라 격리 해제 여부가 결정된다.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22일 0시 격리에서 해제된다 ... ...
[과학뉴스]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배열로 바꿔 반도체를 제작했다. 그 결과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슷한 효율인 20%대를
유지
하면서도 훨씬 얇고 가벼우며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송진동 광전소재연구단장은 “얇고 잘 휘는 구조여서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차 있었다. 김 책임연구원은 “저서생물은 다른 열대 해양생물의 먹이가 돼 생태계를
유지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저서생물의 생물량이나 종류를 통해 해양의 생산성이나 환경 변화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기원 군(경기 광교고 2학년)은 “저서생물을 100마리까지 동정(同定)하고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