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 숙주방어유전학센터장)는 인류와 가까운 포유류의 수용체를 찾았다. 쥐 실험을 통해 포유류에서 병원균을 인식하는 ‘지질다당류(LPS)수용체’를 발견했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밝힌 공로로 201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대쪽같은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액체 발효종을 넣어야 훨씬 부드럽고 수월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데에 동의하십니까?”“어느 쪽이건 별 의미가 없지요. 직접 영향을 받지 않았더라도 인류의 역사는 털실 뭉치처럼 얽혀있으니까요.”“그렇겠지요. 어느 쪽이건 상관없습니다. 사도 바울이 무슨 의도로 이런 말을 했건 전 이 메시지를 지금 우리의 우주관과 연결해서 읽습니다. 언젠가 밤도둑처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했지요.”그 옆에는 올록볼록한 곡선이 아름다운 스포츠카가 전시돼 있었어요. ‘인류가 만든 가장 아름다운 자동차’라는 찬사를 받는 ‘1958년형 페라리 250 테스타로사’였지요.“예전 이탈리아의 자동차 장인들은 도면도 없이 오로지 손과 눈의 감각으로 금속판을 두드려 자동차를 만들었어요.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컴퓨터와 통신이 발달하면서 지금과 같은 도시의 형태가 만들어졌어요. 이처럼 도시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그 모습이 계속 바뀌어 왔답니다.미래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오늘날의 도시가 바뀌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에요. 1995년에 1000만 명 이상이 사는 ...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가스밸브나 잠금장치를 습관적으로 확인한다.같은 맥락에서 인류는 무의식적으로 ‘새로운 것은 위험하다’는 심리를 통해 생존 확률을 높였다. 출근할 때 항상 같은 길로만 다닌다거나, 식당에서 매번 비슷한 메뉴를 고르는 것이 그 예다. 결국 평범한 사람들도 일상생활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평면 디스플레이의 기판과 빌딩의 스마트 아트월 등의 첨단 기기에도 쓰이고 있다.인류의 유리 제조 기술이 문명의 주도권을 동양에서 서양으로 옮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관점도 있다. 과학사에 따르면, 18세기 이전까지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이 문명의 우위에 있었다. 종이와 화약,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마음 먹은 청년이 그렇게 많단다. 책에서 다룬 미생물학의 가장 눈부신 발견들이 인류에게 선사한 혜택이 어마어마해서이기도 하지만, 저자가 천방지축의 미생물 사냥꾼들에게 보내는 애정 어린 시선도 한 몫을 톡톡히 한것 같다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십만 년 전 어느 날, 한 구석기인이 계곡에서 뭔가를 열심히 찾고 있었다. 얼마 후, 냇가의 돌더미 속에서 주변과는 다른 뽀얀 돌을 집어 든 그는 여기 ... 다양하다. 필자가 이산화규소를 인류 최고의 소재로 꼽은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인류 최초의 도구였던 플린트는 시작일 뿐이다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활용하는 것이 아닐까? 이것은 근본적인 열역학 법칙을 위배하는 것 아닌가?인류의 세계관을 바꿀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의 해답이 내 머리속에 들어 있다는 생각을 중학교 2학년 때에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결국 중학생에게 그런 것은 그렇게까지 큰 문제는 아니었다. 나는 참고 살고, 잊고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