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대학"(으)로 총 2,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과학기술인이 택할 수 있는 직업에 꼭 연구자나 개발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공계 지식을 기반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기자나 프로듀서도 있고, 작가나 번역가도 있다. 외국에는 연구 결과를 멋진 그림과 그래프로 바꿔 주는 그래픽 아티스트나 애니메이션 제작자 중에도 이공계 출신이 꼭 끼 ...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우리에게 많은 점을 일깨워 주고 있다. 핵은 정말 위험하다는 사실과 함께 인간이 핵을 완벽하게 다루는 데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많다는 점이다. 정부와 원자력 전문가 집단이 ‘비밀주의’ 성향이 강해 소통이 부족하고, 이 때문에 신뢰가 떨어져 대중이 느끼 ...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최근 서남표 총장이 “해외 우수 대학에서도 자살하는 사람이 많다”며 “MIT(매사추세츠 공대)에 비하면 카이스트 학생들은 공부의 양이 적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실제로 미국 보스턴글로브의 발표에 따르면 MIT에서는 199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간 인구 10만명당 10.2명이 자살했다. MIT가 학사운영 ... ...
- 지식산업 밝힐 경영과학의 길과학동아 l2011년 05호
- 박진우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의 연구실은 좀 특이하다. 양쪽 벽을 꽉 채운 붙박이 책장에 빽빽이 꽂혀 있는 책은 대부분 경영서적이다. 오래돼 너덜너덜해지고 손때 묻어 거뭇거뭇한 경영 원론서부터 외국 유명 경제잡지 최신호까지…. 책장만 봐서는 도무지 공대 교수의 연구실 같지가 않다. 기 ... ...
- ERP/SCM공학과학동아 l2011년 05호
-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무엇보다 생산성이 중요하다. 산업공학과에서는 제조업이 성공하기 위한 다양한 경영 기법들을 찾는다. 그중에서도 ERP/SCM공학은 국제적 기업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ERP/SCM을 이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 ERP, SCM이란 무엇인가요?ERP, SCM은 정보 시스템 구축 도 ...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중등 영재들의 연구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결과, 과학 - 물리 분야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접근 방법이 눈에 띤다. 교과서 내용의 확인 및 심화, 공학과 관련된 주제 탐구, 첨단 물리학 연구가 그것이다. 지금부터 각각의 주제에 대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작성할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자.※ 이 코너에 ...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15만 마리의 소와 330만 마리가 넘는 돼지를 살처분한 올해 구제역. 이들 가축의 사체는 전국 약 4600곳의 매몰지에 나눠 묻혔다. 이 때문에 토양과 지하수에 구제역 바이러스는 물론 사체가 분해되며 발생하는 액체 상태의 오염물, 즉 침출수가 흘러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매몰 작업이 끝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지구는 푸르다. 이 얼마나 멋진가. 1961년 4월 12일 유리 가가린은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선을 타고 지구를 내려다보며 이렇게 말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났다. 그 동안 사람은 달에 다녀왔고, 수많은 우주인이 인류를 우주에 더욱 가깝게 이끌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08년 처음으로 우주인을 배출했다. ...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가 학교에서의 수학교육을 대대적으로 수술한다고 발표했다. 실생활 수학을 강조하고 전자계산기 사용을 검토하며 학교 수학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이에 수학동아는 수학교육 개선의 의미를 짚어보고, 앞으로 수학교육에서 구체적으로 무엇 ...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세상에 처음 알려진 지 100년이 지났지만 초전도 현상은 여전히 물리학자들에게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다양한 초전도 물질, 때로는 예상을 뛰어 넘는 물질이 등장하기도 했지만, 아직도 초전도 현상을 이론적으로 완벽하게 설명하는 일은 물리학의 최대 난제 중 하나다.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연구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