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주로 설명하기 보단 행동하는 편이랍니다. 내년에 중학생이 되어서도 종종 탐사에
참여
해 스트레스를 풀 거예요. 현우가 아직 6살이니까 앞으로 몇 년은 더 지사탐에서 푸른누리탐사대를 볼 수 있어요. 아빠, 엄마 파이팅…! 현우도 점점 탐사에 재미를 붙여 요즘엔 폴짝 뛰는 생물이 메뚜기라는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력 발전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있다”며 “전기를 적게 사용하는 LED 전구로 스탠드를 만들어 기부하는 프로젝트에도
참여
한 적 있다”고 말했어요. 또, 김송민 기자는 “게임을 하면 스마트폰 배터리를 많이 쓰게된다”며 “전기를 아끼기 위해 이제 게임을 줄이겠다”고 말했답니다 ... ...
[열혈 가족 인터뷰] 과학자 가족의 어과동 활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못했죠. 이 점이 정말 아쉬워요.친구들은 저처럼 아쉬움이 남지 않게 다양한 활동에
참여
하세요. 저처럼 집이 먼 친구들은 플라스틱 프로젝트와 같은 활동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 ...
[과학뉴스] 블랙홀도 삼시세끼?! 9시간 마다 별 먹는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연구에
참여
한 ESA 마르게리타 기스티니 박사는 “블랙홀이 별을 먹으며 파괴할 때 나오는 X선을 관측한 것으로 추측한다”면서도 “X선이 주기적으로 방출되는 것은 이전 연구들과 전혀 다른 원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친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저희 팀은 지난해에도 디지털 포렌식 경진대회에
참여
했었어요. 그때는 2위였지만, 이번엔 우승했어요. 계속 도전한 결과라고 생각해요. 포렌식 기술을 더욱 연구해 사건 해결에 도움을 주고 싶어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 중 평소 추리나 수학을 좋아하는 친구가 ... ...
ㅅㅇ···사라지는 언어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위해 직접 나선 제주 학생들이 있어요. 한국문화의집의 ‘삼삼오오 청년 인문실험’에
참여
하는 ‘요망진 아이들’ 팀이에요. 요망진 아이들은 ‘야, 너도 제주어 할 수 있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로 제주어 살리기 활동을 하고 있지요. ● 인터뷰 “야, 너도 제주어 할 수 있어!” 요망진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오토마타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도는 캐릭터들의 세상 지난 9월 9일 열린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에
참여
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섭섭박사님의 설명을 들으며 오토마타를 만들었습니다. 저는 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을 존경하는데, 그가 만든 자격루 역시 오토마타의 원리를 이용하기에 이번 메이커 스쿨에 더 호기심을 ... ...
[통합과학교과서] 사라진 세제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광학 조건에 따라 어떤 색을 내는지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했어요. 연구에
참여
한 콜 교수는 “색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염료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색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연구의 의미를 밝혔답니다. 스토리 따라잡기“마을의 ... ...
도전1 바다에서 우주 탐사 연습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두 명의 과학자가 함께 했답니다. NEEMO 프로젝트는 초기부터 다른 분야의 과학자들도
참여
해 미션을 수행했어요. 이번 프로젝트에는 신경생물학자와 해양학자가 참가해 중력이 다른 환경에서 우주비행사들의 신체 변화를 검사하고, 해면동물과 산호의 표본을 건네받아 바다 환경에 대한 연구를 함께 ... ...
게임이용장애란 질병이 생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게임 시간과는 관계없이 통제력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WHO의 결정 과정에 자문위원으로
참여
한 이해국 가톨릭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는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지가 진단의 핵심”이라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게이머는 매일 게임을 하더라도 일상적인 직업 활동이므로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