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솥 바위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모양으로 오목하게 파인 구멍을 지형학 용어로는 ‘나마’(gnamma)라고 한다. 나마는 호주 원주민어의 ‘구멍’에서 유래한 것으로 최근 학술 용어로 정착됐다. 우리말로는 가마솥처럼 생겼다고 해 ‘가마솥 바위’라고 부른다.가마솥 바위는 화강암이 많은 우리나라 전국 곳곳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
- 하루살이 물고기 피그미망둥이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최단 수명 기록이 바뀌었다.호주 제임스 쿡 대학의 마셜 뎁진스키 교수는 피그미망둥이(Eviota sigillata)가 태어나서 8주 만에 수명을 다한다는 사실을 ‘커런트 바이올로지’ 4월호에 밝혔다. 지금까지 발견된 척추동물 중 자라고 죽는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이다.뎁진스키 교수는 “피그미망둥이가 최장 ...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과학동아 l2005년 05호
- 기르는 재미가 쏠쏠한가 보다.놀랍게도 우주에도 타란툴라를 닮은 대상이 있다. 호주나 뉴질랜드 같은 남반구 국가를 방문하면 밤하늘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천체 중에 대마젤란은하가 있다. 뿌옇게 보이는 이 은하 속에 타란툴라라는 이름의 성운이 숨어 있다. 타란툴라성운은 남반구의 ...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을 감시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 호주 등에 무인관측소를 설치해 지구 남반구에서 소행성을 감시하는 새로운 시도도 시작했다.수백만년에 걸쳐 인류가 일궈낸 문명이 커다란 소행성 한 방에 쓰러질 수 있다. 우주방위재단의 카루시 회장은 소행성의 ...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모두 털어낼 절호의 기회다. 2003년 남극점 비행에 도전했던 영국 조종사 폴리 베커와 호주의 조 조안슨도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세계 최초의 기록을 세울 기회는 남아 있다. 시기도 좋다. 지난 비행보다 출발 시기를 앞당겼기 때문에 북극점을 찍고 남극점에 도착할 11월쯤에는 날씨가 한결 좋을 ...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노하우를 만들어가기 때문에 더욱 그렇죠.”실제로 김 사장과 이 교수 모두 리투아니아, 호주, 독일,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 홀로그램 전문가를 직접 찾아다니며 기술을 익혔다고.홀로그램은 한번 찍어두면 시간이 지나도 ‘빛바랜 사진’이 되지 않는다. 반영구적 보존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뿐만 ...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응답한 셈이다.고래도 남의 ‘노래’를 따라 부른다. 호주 시드니대 마이클 노드 교수는 호주 동부 해안에 서식하는 험프백 고래 무리가 오랫동안 부르던 집단의 노래를 버리고 아예 다른 노래를 부르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위잉~”하며 내는 소리 자체의 주파수도 다르고 ‘곡’의 진행도 완전히 ...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위상 높아지는 한국 과학교육이번 컨벤션과 컨퍼런스에는 미국을 비롯해 한국, 캐나다, 호주, 영국, 독일, 중국, 일본, 대만, 이스라엘, 케냐, 홍콩, 필리핀, 핀란드, 나이지리아 등 세계 각국의 과학교육 관련자들이 참가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국과학교사협회는 회원 6명과 함께 NSTA 컨벤션에 ... ...
- 흑백 착시현상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5년 04호
- 표시하는 오래된 유럽 속담이다. 과연 우리 눈은 이런 믿음을 받을 만큼 충실할까.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 심리학부 바튼 앤더슨 박사팀은 똑같은 물체가 배경의 밝기에 따라 희거나 검게 보이는 착시 현상을 ‘네이처’ 3월 3일자에 발표했다.착시는 사물의 색깔, 운동, 깊이, 흑백도(lightness) 등이 ...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이산화탄소가 조금씩 유출되면 이에 반응해 잎의 색이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호주 멜버른대 앨런 베이커 교수에 의하면 중금속을 저장하는 능력이 있는 식물이 세계적으로 440종이 넘는다고 한다. 지난해 집계를 보면 약 10%인 44개의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 기술이 특허를 받았거나 특허 심사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