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어린이과학동아
"
주위
"(으)로 총 1,010건 검색되었습니다.
3짱 프로젝트-건강한 눈,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눈을 비비면 각막에 상처를 주고 자주 오랜 기간 동안 눈을 비비면 난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눈이 간지러울 때에는 얼음으로 눈
주위
를 차갑게 하면 간지러움이 덜해집니다. 자주 눈이 가렵다면 꼭 병원으로 가세요. 손을 깨끗이 씻자! 손을 통해 눈병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강한 눈을 위해 항상 눈을 깨끗이 씻도록 하세요 ...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시체가 썩으면 메탄가스가 생긴다. 동식물이 썩기 쉬운 늪지대에는 메탄가스가 많은데 자연적으로 불이 붙어 음산한 빛을 낸다. 무덤
주위
도 마찬가지로 메탄가스가 많이 생긴다. 3. 빛의 이상굴절에 의한 신기루 현상? : 공기의 밀도는 똑같지 않다. 빛이 밀도가 서로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눠지기도 한다. 먼 곳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9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한 사람이 되었다. 그 후 그는 배율 20배의 망원경을 만들어 달의 표면이 울퉁불퉁하다는 것과 목성의
주위
에 4개의 위성이 돌고 있다는 것, 그리고 태양면에 흑점이 있다는 것 등을 발견하였다. {BIMG_r14}1672년 뉴턴의 반사망원경 갈릴레이가 발명한 굴절망원경에는 빛의 색깔마다 굴절하는 정도가 달라 상이 뚜렷하 ...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물갈퀴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 녀석들의 수영 실력은 수준급이고, 물고기 잡는 기술도 뛰어나다. 높은 절벽 근처의 바다오리 둥지
주위
를 어슬렁거리는 녀석이 있다. 바로 북극여우다. 날씨가 따뜻해져 새들이 많이 찾아오자 신이 난 북극 여우는 바다오리의 알을 훔쳐 유유히 사라진다. 북극여우는 다가올 겨울을 대비해 먹고 남은 먹이를 눈 속에 파묻어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4
남지 않았구나.’ 나는 깜짝 놀랐어. 요 몇 해 동안 국민적인 스타로 떠오른 축구천재에게도 저런 고민이 있었구나! 월드컵을 앞두고
주위
의 지나친 관심도 부담으로 느껴졌던 거야. 구 박사,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지? 구해모 박사 : 자신감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해 주변 사람들의 기대가 커질수록 선수는 부담을 느끼게 되지. 부상을 당하거나 실수 ...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수 있었던 것이지요.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가라앉고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현명하게 이용했던 것이지요. 석빙고
주위
에 배수구를 설치해 얼음을 녹이는 물과 습기를 재빨리 빼낼 수 있도록 했답니다. 그리고 얼음과 맞닿은 벽과 천장의 틈 사이에는 볏짚, 톱밥 등을 채워 넣어 외부의 열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볏짚은 안에 비어 있는 ...
두근두근 화성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잠겨 만들어진 진흙과 같은 부분을 20여 곳 넘게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이런 물이 화성에서 협곡과 강을 만들었다. 지난 3월부터 화성
주위
를 돌고 있는 또 다른 탐사선은 화성에서 물의 흔적을 집중적으로 찾고 있다. 그러나 아직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 많던 물이 다 어디로 갔을까? 화성의 중력은 지구보다 약해 대기가 점점 ...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511
있다면 어떨까요? 밤에 칙칙 뿌리면 편안히 잠들 것 같다고요? 하지만 자연의 세계에서는 그다지 좋은 일은 아니랍니다. 언제나
주위
에는 나보다 강한 적들이 득실대고 있어요. 가끔은 좋아하는 향기를 무작정 좇아가다가 치명적인 덫에 빠질 수도 있거든요. 기다리는 건 내 성격이 아니야!-볼라스거미 일반적으로‘거미’하면 정교한 거미줄을 쳐놓고 먹잇감이 ...
동요속 숨은 과학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28
강바람 "강 위에서 부는 바람 시원한 바람 그 바람은 좋은 바람 고마운 바람" 아주 더운 여름에는 사람들이 강가로 놀러 간다. 왜 강
주위
는 시원하고 바람이 많이 불까.그것은 강과 땅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여름 한낮에 햇빛이 쨍쨍 내리쬐면 땅의 온 도는 많이 올라가지만 강은 상대적으로 적게 올라간다. 이런 온도 차이 때문에 공기가 움직여서 ...
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14
목성, 토성 심지어는 그 고리까지 둥글다. 별은 하루를 주기로 하늘을 한 바퀴 도는 것처럼 보인다. 또 지구는 1년에 한 바퀴씩 태양
주위
를 공전한다. 케플러는 한걸음 더 나아가 행성이 움직이는 궤도가 완전한 원이 아니라 타원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눈송이의 육각결정에서 시작된 호기심이 케플러에게 자연을 유심히 관찰하는 습관을 길러 준 걸까?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