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스페셜
"
과정
"(으)로 총 4,38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의 수가 ‘–10마리’? 생명과학Ⅱ 20번 문제 오류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현실에 적용할 수 없는 오류가 나타나는 것이다. 한 이의제기자는 “수험생들은 교과
과정
에서 배운 하디-바인베르크 풀이방법 중 당연히 개체수를 구하여 푸는 방법을 배웠고, 20번 문제는 한 가지 방법으로만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돌아가더라도 개체 수까지 다 구해서 풀 수도 있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좋게 바라봐주는 것만으로도 좋은 사람이 된다
2021.11.20
픽사베이 제공 행복한 사람들은 비슷한 모습으로 행복하지만 불행한 사람들은 제각기 다른 이유로 불행하다는 말이 있다. 그럼에도 예컨대 커플들의 경우 관계에서 불행 ...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
을 밟고 있다 ... ...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1.11.20
관측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소외된 부분에 주목하다 K-DRIFT는 개발
과정
도 험난했다. 고 선임연구원은 이번 프로젝트를 오직 국내 기술로만 성공시켜보고 싶었다. 우주 관측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뒤처진 국가는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분야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 때문이었다. K ... ...
[표지로 읽는 과학] 심장 발달 유전자 망가뜨려 한 곳에 머무르는 삶 바꾼 유형류
동아사이언스
l
2021.11.20
비슷하다. 피낭동물에 속하지만 멍게나 미더덕이 속한 해초강과 달리 고착동물이 되는
과정
을 겪지 않는다. 대신 몸을 둘러싸는 집을 가진다. 꼬리의 끊임없는 움직임으로 집에서 물을 순환시켜 바다의 미세조류를 잡아먹는다. 실험실에서 쉽게 키울 수 있어 발달생물학 연구에서 모델 유기체로 ... ...
[우주산업 리포트]아프리카 국가들 '우주동맹'…아프리카 우주국 내년 출범
2021.11.19
단계인 조직 구성에 대한 안을 통과시켰기 때문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지도부 선출로 이
과정
이 순탄히 진행된다면 아프리카 우주국은 이르면 내년 초 정식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우주국의 탄생이 아프리카에 주는 의미는 특별하다. 아프리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8개의 거울을 세부 조정하는
과정
을 거친다. 고도의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는 만큼 이같은
과정
에 오차가 없어야 목표 지점에 완벽하게 안착하게 되는 험난한 여정이다. 우주 과학자들은 향후 중간 크기의 블랙홀, 우주 팽창 속도 등 천문학과 우주연구에서 그동안 연구가 어려웠던 분야에 새로운 ... ...
노도영 IBS 원장 “다음 10년 선수보다는 유망주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8
노 원장은 “계속 연기가 돼 국민 여러분에게 죄송하다”며 “중이온가속기는 건설하는
과정
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을 파악하고 고치는 연구개발 기간이 필요한 데 초기 기획 단계에서 이 부분이 저평가 돼 있었다”고 연기 이유를 밝혔다. 이어 “현재 1단계 목표인 저에너지 가속구간 건설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혁신의 그늘과 인류애의 폭력 사이에서
2021.11.18
기초 생의학 연구의 발전과 백신 개발
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데 사용됐다. 물론 이
과정
에서 제약사와 생명공학 회사들 또한 사적 자본을 동원해 백신 개발에 필수적인 여러 혁신과 발명을 이루어 백신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그의 말처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드러난 21세기 지적재산권에 ... ...
'승리호' 출동해야 하나…우주쓰레기 9천600t 떠다닌다
연합뉴스
l
2021.11.17
이런 조각들은 지구 중력에 이끌려 서서히 하강하다가 대부분 불타 없어지겠지만 이
과정
에 수년에서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 영국 사우샘프턴대학 휴 루이스 교수는 "바닷가에 플라스틱이 쌓이듯이 지구 주위 궤도에도 비슷하게 우주쓰레기가 쌓이고 있고 지구 환경과 우주환경은 하나"라며 ... ...
[랩큐멘터리] 버려지는 열로 전기와 수소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진현규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포스텍 ‘열및에너지연구실’은 발전
과정
에서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연구한다. 열을 전기로 직접 변환할 수 있는 새로운 열전소자 소재 연구와 열을 수소와 일산화탄소 등 새로운 에너지와 화학물질로 변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