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상"(으)로 총 1,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움직임을 공학과 물리학적 개념을 적용하고 접근하고 있다.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상호작용할 때, 움직이는 방향성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등 꾸준히 연구를 해왔다. 그는 다양한 주제에 관심이 많다. 이러한 연구적 호기심은 첨단연성물질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보임을 확인했다. 두 돌연변이체는 서로 매우 비슷한 표현형을 보였는데, 두 개체 모두 정상 식물보다 개화시기가 빨랐고, 열매 끝이 뭉툭한 모양이었다. 즉, HDA9와 PWR 단백질은 동일한 유전적 경로를 통해 탈아세틸화 작용을 수행함을 밝혀낸 것이다. 유전체 분석 결과, PWR는 HDA9와 직접 결합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또는 수용체가 민감) 부족한(또는 수용체가 둔감) 유전형을 지닌 결과 사회적 기준에서 정상이라는 범위 밖의 욕구를 지니게 되고 그 결과로 이어진 행동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될 것 같아 안타깝다. 나 자신은 물론 타인의 행동도 웬만하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관용을 보여야하지 않을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세팔로투스의 게놈이 최근 해독됐다. 세팔로투스의 포충낭(앞)은 잎이 변형된 기관으로 정상적인 잎(뒤)과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해 식충식물 진화에 관련된 유전자를 꽤 찾았다. - 네이처 생태학&진화 제공 연구자들은 전체 게놈의 76%로 추정되는 16억 염기를 해독했는데 단백질을 지정하는 ...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1’이라는 물질로,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에게 이 물질을 투입하자 인지기능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지요. 김영수 연구원은 “이번 연구 성과는 오랜 논쟁 대상인 아밀로이드 VS 타우 가설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이라고 연구성과를 소개했습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포유류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생후 5일차의 생쥐 발바닥 피부의 단면사진이다. 위는 정상 생쥐로 땀샘(SwG) 형태가 보이고 땀샘에서 발현하는 유전자인 SMA가 예상대로 많이 발현돼 있다(맨 왼쪽 사진에서 빨간색). 아래는 BMP신호를 전달하는 유전자가 고장난 생쥐로 땀샘 대신 모낭(HF) 형태가 보이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난민에게 등을 돌리는 것은 위선적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3]. 독일, 영국, 이탈리아의 정상들은 미국의 이와 같은 행위가 반인륜적이며 불법적인 행위라고 강하게 규탄하기도 했다. 그러던 와중에 29일 캐나다 퀘벡지역의 모스크에서는 무장 괴한이 기도중인 사람들을 향해 총을 난사한 사건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주말 시차’다. 즉 주말에는 자고 깨는 시간이 서너 시간 뒤로 밀리고 주중에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는 1주일 단위의 교란이 만성화된 경우다. 또 많은 사람들이 자연의 주기에서 몇 시간 밀린 삶을 살아가고 있다. 즉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또는 늦게 자고 출근 때문에 아침에 억지로 깨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자신들의 발견이 와딩턴의 탈수로화의 첫 실제 사례라고 주장했다. 즉 우리 눈에는 정상으로 보이는 초파리들은 실제로 다양한 변이가 숨겨져 있으나 Hsp90의 작용으로 변이가 드러나지 못한 상태인데(수로화), 이 단백질이 고장 나면서 고삐가 풀려 여러 형태의 변이가 나타났다는 것(탈수로화). ...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2016.12.21
- 잘못 알려졌지만 적정 수준의 콜레스테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콜레스테롤이 정상 수치보다 높을 때는 동맥 경화를 일으킨다. 이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이 지나치게 모자라면 혈압과 수분 조절 이상, 소화불량과 우울증, 심각하면 뇌경색이나 뇌출혈까지 초래할 수 있다. 좋은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