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호
병구완
간병
돌봄
병시중
돌보기
시중
d라이브러리
"
간호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의 적 비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한의원의 문을 열고 들어가서 일단 접수를 했어요. 건강진단을 받기 전에 미리
간호
사 누나와 내가 병원에 왜 오게 됐는지 간단하게 얘기했지요. 여기서 생활 습관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고, 부모님의 키를 통해 내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자랄 수 있는지도 알아보았어요.여기는 영양상담실.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10
목숨을 잃은 26세 여성 프라니 통찬은 조류독감 의심 증세를 보이다 사망한 11세 딸을
간호
하다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 사례는 아직 판데믹의 셋째 조건을 만족시키지는 못한다. 가족 간에는 밀접한 신체접촉이 많이 이뤄지므로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로 퍼질 수 있는지는 아직 미지수란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02
8월 이라크 자이툰 부대에 파견돼 지뢰 등을 제거하는 위험 작업에 투입됐다.외국에는
간호
로봇 등 더욱 다양한 생활 로봇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에는 개 만한 것부터 사람 만한 크기의 경비 로봇이 많이 나와 있다. 일본에는 현금수송로봇까지 등장했다. ‘로보캅’이라는 이름의 이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12
없다. 붉은 색을 감지하는 원추세포가 피로해진 상태에서 흰 가운을 입은 동료 의사나
간호
사를 보게 되면 붉은 색의 보색인 초록색 잔상이 남게 된다. 이 때문에 수술시 의사의 집중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시에는 흰 가운 대신 초록색 가운을 입는다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말을 채 끝맺기도 전에 아내는 의료진들에 둘러싸여 분만실로 들어가고 있다. 얼마 후
간호
사로부터 산모가 무사하다는 얘길 듣고 나서야 남편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린다.“문제는 아깁니다. 조산되는 바람에 폐가 다 자라지 않았어요. 좀더 지켜봐야합니다.”담당 의사의 설명을 들은 남편은 또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09
있다. 문진은 환자 스스로 느끼는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의료행위다. 따라서 이는 반드시
간호
사가 아닌 의사가 실시해야 한다. 또 단순한 설문조사식 문진표 작성 같은 형식적인 방법이 아닌 실질적인 진단이 이뤄지도록 개선돼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혈액검사 결과에 따라 문제가 있는 경우 ... ...
터미네이터 만드는 로봇갑옷
과학동아
l
200404
최고 8천m까지 상승이 가능하며, 시속 1백30km로 2백km를 날아갈 수 있다.실버시대 겨냥한
간호
로봇 일본은 미국과 달리 입는 로봇을 환자나 장애인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했다. 대표적인 예가 지난해 발표된 HAL-3. ‘인체결합 보조다리’(Hybrid Assistive Leg)란 뜻의 HAL은 버클리 다리 골격과 마찬가지로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03
합한 것이다. 두 그림 모두 공통조상에서 환자의 유전자가 진화하다가 마지막에
간호
사의 유전자로 갈라져 나오는 것을 보여준다. 베일러 의대팀을 이끈 마이클 메츠커 교수는 재판에 증거물로 제출된 계통유전학 분석결과를 지난해 10월 29일자‘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소와 고래는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03
아트로핀으로 채워진 초콜릿을 먹고 기절했다. 다행히 부인의 동공이 팽창된 것을 병원
간호
사가 발견해 아트로핀 과다복용 및 중독임을 금방 알아차렸다. 그 후 빨리 조치를 취해 목숨은 건질 수 있었다고 한다.홈즈처럼 시체의 입냄새를 통해 독극물의 존재를 알아맞출 수 있을까. 몇몇 독약이나 ... ...
부숴 먹는 알약 해로울 수 있어
과학동아
l
200208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그는 “부수거나 캡슐에서 빼면 안되는 알약이 어떤 것인지
간호
사들이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부 보건당국 차원에서 이런 약들의 명단을 만들어 공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라이트 박사에 따르면 실제로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정기적으로 이런 알약의 명단을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