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리"(으)로 총 1,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3
-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고려하면, 사드 한 포대로 남한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주장은 논리적 비약이라는 얘기다. 쟁점3 사드 자체의 결함?사드 자체의 신뢰성도 논쟁거리다. 국방부는 최근 “사드가 그동안 14차례 시험평가에서 모두 성공해 성능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기에는 맹점이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03
- 엉키면서 표현되는 거라고 생각했다.그리고 죽으면 뇌가 멈추기 때문에 시간 감각도 논리도 감정의 변화도 없어진다. 그저 그 마지막 순간 그대로 계속 남게 된다. 그래서 그 상상할 수 있는 가장 큰 무서움과 고통이 계속 그냥 그대로 남아 영영 어디로 가지 않고 그대로 있는 것 같았다. 실제로는 ... ...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03
- 판단, 즉 ‘대인 신뢰(interpersonal trust)’의 과정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ISBN-10: 0470129115). 논리적인 과정이라면 ‘중립’ 상태에서 신뢰할만한 단서들(인성, 능력 등)을 오밀조밀수집한 뒤 결정을 내려야 한다. 하지만 우리는 처음부터 결론을 내리고 그 다음에 단서를 모은다. 다행히도 대개는 처음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02
- 형태로 다루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처음 해석학을 배울 때는 어려울 수 있어요. 논리적이고 세밀한 수학의 엄밀성을 처음 접하기 때문일 거예요. 그래서 지극히 딱딱해 보이고 엄격한 증명을 이해하기보다 증명 과정을 외워버리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해석학 공부를 깊이 하다 보면 생각이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02
- 글로 논리를 전개한다면, 공학은 물리적 사고로 논리를 전개하는 학문입니다. 수학은 그 논리를 펼쳐 나가는 언어고요. 하지만 무엇보다 꿈에 대한 확신이 우선입니다. 모든 학문이 그렇겠지만, 특히 원자핵공학과는 아주 장기간 꾸준히 연구해야 성과가 나오는 학문입니다. 강한 의지와 꿈에 대한 ...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수학동아 l201602
- 따 지은 것으로, 집합의 포함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1880년 존 벤이 쓴 ‘명제와 논리의 도식적·역학적 표현에 관하여’라는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 집합 사이의 관계를 도형이나 도표로 나타낸 사례는 흔하지 않아서 벤 다이어그램은 순식간에 널리 알려졌다.그런데 이런 도식화를 존 ... ...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02
- 우리 뇌는 체내에서 가장 많은 포도당을 사용하는 기관이다.혈당이 떨어지면 주의력과 논리적 사고력은 물론이고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결과도 있다. 한 예로 혈당이 낮을수록 가족들이 둘러앉은 저녁 식탁에서 부부싸움이 더 격렬해진다(doi: 10.1073/pnas.1400619111). 당이 떨어지면 배우자를 나타내는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01
- 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지식도 중요하지만 수학을 공부하면서 습득할 수 있는 논리력, 사고력, 인내심을 높게 쳐주는 분위기가 점점 퍼지고 있어요. 수리생물학자도 세상에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사람이잖아요? 수리생물학자 중에는 금융회사나 구글, 페이스북 같은 회사에서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01
- 이 셋만 성립하면 자연 선택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일어난다. 예외는 없다. 그저 논리적인 귀결이다.한 마디로, 개체의 번식 성공도(평생 낳는 자식 수, 이를 ‘적합도(fitness)’라 한다)를 높여주는 유전적 변이가 개체군 내에 점차 흔해지는 과정이 바로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다. 예컨대 어떤 종의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01
- 횟수 내에 풀 수 있다고 증명된 것이 있습니다. 이를 ‘NP-완전’ 문제라고 합니다. 어떤 논리식이 참이 되게 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문제가 가장 먼저 증명된 NP-완전 문제입니다. 이는 1971년에 미국의 전산학자 스티븐 쿡이 증명해 ‘쿡의 정리’라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소련의 전산학자 레노이드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