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력"(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과학동아 l200609
- 14일) 등 연인을 위한 이벤트 데이가 넘쳐난다. 과학자를 위한 이벤트 데이는 없을까. 9월 달력을 바라보는 물리학자 개인에게도 특별한 날이 있다. 교과서 속에 등장하는 지구의 중력가속도(9.8m/s²)를 떠올릴 수 있는 9월 8일이다. ‘중력의 날’이라고 할 수 있다.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고 ...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어린이과학동아 l200608
- 것을 명했고 그는 세밀한 관측과 연구를 통해 당시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역법서이자 달력이라 할 수 있는 ‘칠정산’ 을 만들었다.동양 최고의 한의학자 허준(1539〜1615)조선 중기의 한의학자. 1613년 총 25권에 이르는 동양 최고의 의서 ‘동의보감’ 을 완성한다. 오랜 세월의 연구와 치료 경험, ... ...
- 사실이야? 진짜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07
- 있었기 때문이랍니다. 그러나1594년 프랑스의 왕 샤를 9세가 그레고리력이라는 새로운 달력을 쓰기로 하면서 새해가 1월 1일로 바뀌게 되었어요. 하지만 이 소식을 듣지 못한 사람들은 4월 1일을 새해로 여겨 축제를 열고 새해 인사를 보냈지요. 사람들은 이들을‘4월의 바보’라고 부르며 거짓으로 ...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6
- 민간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대략적인 시각만을 측정했다. 달력과 시계가 하나로! 앙부일구1437년에 완성된 ‘앙부일구’ 는 ‘앙부’ 가 ‘입을 벌린 솥’ 을 뜻하고, ‘일구’ 가 ‘해그림자 ’를 뜻하므로, ‘해그림자로 시간을 보는 솥 모양 해시계’ 라고 할 수 있어요. 그런데 ... ...
- 개구리야~, 학교 가자!어린이과학동아 l200605
- 달력에서 3월 6일을 찾아보면‘경칩’이라고 적혀 있을 거예요. 24절기 중의 하나인 경칩은 한자로 놀랄 ‘경 ’자와 숨을 ‘칩’ 자를 써서 말 그대로 하면 ‘놀라서 숨는 날’이 된답니다. 태양의 황경이 345°가 될 때로, 양력으로는 매년 3월 5일경이 되는 경칩은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깨어나는 ... ...
- 야광귀를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0602
- 따라 2005년 음력의 11월과 12월의 날 수를 모두 29일로 정하였습니다. 이를 참고하지 않은 달력들이 음력 12월의 날 수를 30일로 잡아 실수가 생긴 것이죠.설날의 풍속사람들이 모여 사회를 이루고 오랫동안 살다 보면 하나 둘 관습이 생기고, 그것이 매 계절마다 되풀이되면서 풍속이 됩니다. 따라서 ... ...
- 인간은 호모 퀴클리쿠스?과학동아 l200601
- 2월 4일이므로 양력, 음력, 절월력 순서로 새해가 시작된다. 일부 휴대전화와 인터넷, 달력에 설날이 1월 30일로 잘못 표기돼 있다고 하니 주의하시길. 2005년은 양력, 절월력, 음력 순이었다. 그렇다면 병술년인 올해에는 언제 태어난 아이부터 개띠가 될까? 띠라는 것은 절월력을 따르기 때문에 양력 ... ...
- 새해 첫날 , 더하기 1초어린이과학동아 l200601
- 윤년은 366일입니다. 윤년에는 2월이 29일까지 있어 하루가 늘어나게 됩니다. 윤년은 달력을 지구 공전에 정밀하게 맞추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지구 자전에 정밀하게 맞추기 위해 1년에 1초를 더하기도 하는데 이것을‘윤초’라고 부른답니다. 새해 2006년에는 1월 1일 오전 9시에 윤초가 ...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0518
- 이집트인들은 1년을 365일로 하고 30일로 이루어진 열두 달과 연말에 5일을 더하는 식으로 달력을 만들었다. 그 후 과학의 발전으로 1년이 365.2425일이라는 것을 알게 됐고 이를 맞추기 위해 4년마다 윤년을 넣지만 100으로 나뉘는 해는 윤년을 넣지 않고, 다시 400으로 나누었을 때 나뉘는 해는 윤년을 ...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과학동아 l200512
- 알려주는 ‘나일의 별’로 제사를 지내곤 했다. 뿐만 아니라 시리우스를 기준으로 달력을 만들어 사용했다.고대 인도에서는 이 별을 티시야(Tishiya) 또는 수크라(Sukra)라고 불렀다. ‘비의 별’이란 뜻이었다. 때로는 사냥꾼의 별 또는 개의 별이라고 부르기도 했다.메소포타미아의 칼데아 사람들은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