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식
도표
그림꼴
그림
설계도
그림표
그래프
d라이브러리
"
도형
"(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02
헤르만 와그너 교수는 외양간올빼미가 모니터에 삼각형이나 사각형이 나타날 때마다
도형
을 부리로 쪼도록 길들였어요. 훈련을 충분히 받은 외양간올빼미는 주관적 윤곽선이 만든 삼각형과 사각형이 나타나도 모니터를 쪼았어요. 연구진은 시각 세포의 반응에 대한 실험도 함께 실시해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수학동아
l
201602
도식적·역학적 표현에 관하여’라는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 당시 집합 사이의 관계를
도형
이나 도표로 나타낸 사례는 흔하지 않아서 벤 다이어그램은 순식간에 널리 알려졌다.그런데 이런 도식화를 존 벤이 처음 쓴 것은 아니었다. 벤 다이어그램보다 약 100년 먼저 벤 다이어그램과 아주 비슷한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02
연결할 수 없는 두 블록이 자연스럽게 연결된 것처럼 보이지요? 이런 방법으로 불가능한
도형
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요! 그림 속에 숨은 또 다른 그림둥근 거울에 비추면 새로운 그림이 나타나는 기술도 있답니다. 바로 ‘애너모포시스’입니다. ‘왜상 화법’이라고도 하지요. 그림을 쉽게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팡! 물풍선이 터진다!
수학동아
l
201602
바운딩박스를 육면체로 인지해요. 즉, 꼭짓점 8개와 변 12개가 서로 만나는지 또는 상대
도형
안에 들어가는지 확인합니다.여러분이 좋아하는 게임에는 어떤 충돌 원리가 들어 있나요? 그리고 캐릭터와 아이템이 어떤 모양으로 인지될지 한번 상상해보세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수학동아
l
201602
본다. 학생들은 예상을 해 본 뒤에 각자 직접 같은 길이의 현을 한 바퀴 돌려 그어 어떤
도형
이 생기는지 확인한다.2. 나만의 스트링아트 작품 만들기1단계 과정을 마친 뒤 학생들에게 자유롭게 자신만의 스트링아트 작품을 만들도록 한다. 현의 길이를 이용해 정다각형을 작도할 수도 있고, 현의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
과학동아
l
201601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수학적
도형
의 이미지들이 그 표면 위에 나타나고 있었다.
도형
들은 춤을 추고 얽히면서 복잡한 문양을 만들어냈고 그 문양들은 모여서 거대한 물결을 이루었다. 그와 함께 다섯 명의 여자 목소리가 함께 어우러져 부르는 느릿느릿한 오페라 아리아와 같은 노래가 정원에 흘러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
수학동아
l
201601
수 있다.순서도를 이용하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한 눈에 알아보기 쉽다. 순서도는 기호와
도형
을 사용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논리적인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화분에 물을 주는 프로그램의 순서도는 오른쪽과 같다. 그런 다음 ‘태스크’라는 프로그램으로 코딩 과정을 거친다. 태스크는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
수학동아
l
201601
준정다면체인 ‘깎은 정이십면체’는 오각형 12개와 육각형 20개로 이뤄진 3차원 입체
도형
으로 축구공과 비슷한 모양이다.이처럼 여러 수학자가 연구했던 정다면체에 대해 알아보고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을 이용해 다면체를 만들어보자.트럼프카드 조립하기트럼프카드로 우주를 품은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각기둥과 각뿔 요리하며입체
도형
탐구하기 (중등)작도로 즐기는 하트 모양디자인
수학동아
l
201601
실생활에 활용할 수도 있다.수업의 배경 이론‘작도’란 자와 컴퍼스, 연필만으로 특정
도형
을 수학적으로 증명 가능하도록 그리는 것을 뜻한다. 기본도안 작도에 필요한 선분의 수직이등분선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작도할 수 있다.수업의 흐름1. 기본도안 작도하기하트 모양을 디자인하려면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01
특이한 식과 답을 발견했다. 바로 소수로 이뤄진 식의 결과가 자연계에서 가장 완벽한
도형
이라는 원을 나타내는 값, 즉 π였던 것이다. 오일러는 여기서 더 나아가 오일러 곱셈공식이라는 일반화된 식의 일부 값도 알아냈다. 그가 연구한 식의 2제곱 부분에 2 이외의 다른 수 N을 대입할 수 있도록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