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달
미디어
매개
방송매체
방송
인쇄매체
인쇄
d라이브러리
"
매체
"(으)로 총 58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07
키우는 훈련은 어렸을 때부터 하는 것이 좋은데, 문학의 장르 중에서도 시는 적절한
매체
가 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누구나 수학시를 즐기면서 상상력을 키워보라는 말도 전했다. 전혀 다른 분야처럼 느껴진 수학과 시,상상의 날개를 펼쳐 두 배의 기쁨을 누려보자.‘숫자벌레’에서 저자가 직접 뽑은 ... ...
빛의 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의 생존
과학동아
l
201106
채 안걸렸다. 또 기술의 급격한 변화를 가장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분야는 백업용 저장
매체
다. 1.44MB 디스켓에서 650MB짜리 CD-ROM, 8.5GB DVD에서 멈추지 않고 50GB 블루레이로 진화했다. 이 모든 변화가 불과 15년에 지나지 않다. 그러나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듯한 기술들도 알고 보면 생각보다 오랜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05
궁금증후쿠시마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이 우리나라로 올 수 있는 가능성은 세 가지
매체
를 통해서다. 바닷물, 대기, 그리고 생물이다. 이들 가능성을 해양학과 대기과학 지식을 덧붙여 정리해 봤다.1 [해양] 바다에서 방사능이 몰려오나일본은 지난 4월 4일부터 10일까지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온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05
안전에 대한 무지가 화학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악화시키는 데 일조했다. 물론 대중
매체
가 진실을 왜곡한 경우도 있었지만 이런 사건들은 일반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다.그러나 세계 화학계가 무책임한 무대응 전략을 유지하지는 않았다. 캐나다의 화학생산협회가 1985년에 시작해 지금은 ... ...
금혜원 사진전
과학동아
l
201105
전공했다. 하지만 도시의 빠른 변화 속도에 맞춰 작품 활동을 하기엔 사진이 더 적합한
매체
라는 생각에 작업 방식을 바꿨다고 한다. 전시회에는 총 네 개의 연작이 전시되고 있다. 쓰레기 매립지였지만 지금은 공원이 된 난지도의 풍경을 담은 ‘녹색 커튼(Green Curtain)’, 재개발 공사 현장을 담은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04
인 TV는 충동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게임이나 인터넷 역시 성찰보다는 충동에 가까운
매체
다. 우리 뇌에서 ‘성찰 회로‘는 위축되고 ‘충동 회로’는 강화되고 있는 셈이다.스마트 시대는 역설적으로 우리의 뇌 회로를 문자 발명 이전 인류의 상태로 되돌리고 있는 게 아닐까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04
오네스가 발견한 첫 이미지보다 훨씬 매력적이었다. 전 세계의 물리학자는 물론 각종
매체
들까지 반할 정도였다.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IBM연구소의 K. 알렉스 뮬러와 J. 게오르크 베드노르츠가 35K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물질을 찾았다고 발표했던 것이다. 이 연구가 놀라웠던 것은 온도가 30K ... ...
2기 독자위원회 첫 모임
과학동아
l
201104
대한 이야기도 활발했습니다. 2월호 시사기획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은 다른
매체
보다 심층적으로 설명해줘 구제역에 대해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었다고 찬사를 보내셨습니다. “인포그래픽으로 설명한 ‘바이러스 생활사’는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흐름에 따라 묘사해 알기 쉬웠다”고 ... ...
세 남자와 로봇 이야기, 과학돌 JYJ
수학동아
l
201103
아마 ‘JYJ’라는 이름으로 첫 홍보대사 위촉식을 치러서 그런가 보다. 기자는 여러
매체
의 취재진 틈바구니에서 까치발을 하고 그들의 한마디 한 마디를 귀담아들었다.과학돌 JYJ는 지난해 10월, 1집 앨범 ‘The Beginning’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또한 뮤직에세이 ‘THEIR ROOMS 우리 이야기’를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01
뒤인 25일 이 기사가 네이처 지면에 실리자 사정이 달라졌다. 며칠 사이에 거의 모든
매체
가 “한국인이 첫 노벨물리학상을 놓친 것은 노벨위원회의 잘못”이라는 뉴스를 내보냈다.더 히에르 교수는 정말 김 교수를 옹호했나하지만 이 기사들은 과장이거나 틀렸다. 더 히에르 교수는 편지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