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도"(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04
- 진행되고 있다. KSTAR는 ITER와 동일한 재질의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고, 장치 제작의 정밀도가 뛰어나 자기장 오차가 매우 낮다. 덕분에 난류를 제어하는 기술을 매우 정교하게 실험할 수 있다. KSTAR에는 난류의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진단장치가 적용됐다. 모든 연구들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입자의 운동은 활발해진다.대류 : 액체나 기체를 가열하면 온도가 높아지며 팽창해 밀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차가운 부분에 비해가벼워진다. 그 결과 뜨거워진 부분이 위로 올라가고, 대신 위에 있던 차가운 부분이 밀려 내려온다. 결국전체가 골고루 가열된다. 이처럼 액체나 기체 상태의 분자가 ...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과학동아 l201604
- Scale, MMS) 위성을 지난해 3월 발사했다. MMS 위성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자기권 플라스마의 밀도, 온도, 자기장, 전기장을 직접 측정하고 있다. 위성이 4개나 되는 것은 사면체 꼴로 대형을 만들면 플라스마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NASA는 2018년에도 솔라 프로브 플러스(Solar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암흑에너지를 찾는 과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우주의 관점에서 불빛은 곧 은하다. 은하의 밀도가 높은 곳엔 물질을 뭉쳐 별과 은하를 생성시키는 암흑물질이 존재할 확률이 높다. 또 은하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조사하면 우주를 가속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 ...
- [ Infographic ] 플라스마는 어디에나 있다과학동아 l201604
- 반응을 유도하는 초고온 플라스마. 이것들이 존재하는 영역은 온도가 1K에서 1010K까지, 밀도는 1개/cm3에서 1030개/cm3까지 범위가 아주 넓다. 플라스마 엔지니어링을 하기 위해선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플라스마의 특성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플라스마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04
- 액체, 고체 연료를 무겁게 싣고 올라갈 필요가 없다. 이온의 운동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밀도를 적절히 높이면 무중력 상태에서는 충분한 추진력을 낼 수 있다. 현재는 인공위성 등이 궤도를 수정할 때 플라스마 추력기를 사용하고 있다.● 광선검최근 개봉한 영화 ‘스타워즈 : 깨어난 포스’에 ...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과학동아 l201603
- 이름은 BD+20594b로 2015년 처음 발견됐다. BD+20594b는 밀도가 1cm3 당 8g으로 지구의 5g 보다도 밀도가 높았다. 순도 100% 암석 행성인 셈이다.천문학자들은 그동안 크기가 큰 행성은 목성처럼 가스로 이뤄진 가스형 행성일 것으로 생각했다. 지난해 3월 미국 칼텍 연구팀은 “지구보다 1.6배 이상 큰 행성은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03
- 입자들이 일부 섞여 있다. 20km 안팎의 지름에 태양의 2배나 되는 질량을 담고 있을 정도로 밀도가 높은 무거운 별이다. 천문학자들은 두 개의 중성자별이 짝을 이뤄 돌다가 충돌할 때 나오는 중력파의 특징을 분석하면 별을 이루는 입자들의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02
- 있을 ‘섬’을 향해113번 원소는 존재 시간이 너무 짧아 실용적인 용도가 없을 뿐더러, 밀도, 녹는점, 산화상태 등의 화학적 특성을 직접 측정할 수 없다. 유사한 특성을 가진 다른 원소들을 토대로 몇 가지를 예측할 뿐이다. 초중 원소는 발견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워 앞으로도 화학적 특성이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02
- 연장선에서 만들었다. 2009년, 김 교수는 2000기압에서 물을 영하 190℃까지 냉각해 고밀도 비결정질 상태의 얼음을 만들었다. 그 뒤 압력을 대기압과 같은 1기압으로 낮추고 온도를 서서히 높여갔다. 그러자 영하 150℃에서 짧은 순간 액체상태의 물이 나타났다. 김 교수는 혼자 속병을 앓을 수밖에 ... ...
이전5678910111213 다음